작년 역대급 실적 낸 은행들…상반기 경영은 악재 산적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국내은행들이 지난해 역대급 실적을 냈지만, 올해는 그만큼 좋은 실적을 내기 쉽지 않아 보입니다.<br /><br />고금리 리스크와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 ELS 배상 문제 등이 겹치며 경영 환경이 나빠질 거란 전망이 나오는데요.<br /><br />박지운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해 국내은행들의 당기순이익은 21조3,000억 원, 전년보다 15%나 증가하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시중은행 당기순이익이 11조8,000억 원에 달했는데, 주요 금융지주 전·현직 회장들이 수십억 원대 연봉을 받아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올해 상반기 이런 돈 잔치가 끝나고 은행들의 경영 환경이 나빠질 거란 전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수익성 악화에 홍콩 ELS 배상 문제 등이 엎친 데 덮친 탓입니다.<br /><br />금융당국은 배상안을 발표한 뒤 은행들의 건전성엔 문제가 없을 거라며 먼저 선을 그었습니다.<br /><br /> "아직까지는 국내 은행의 건전성이라든가 수익성 지표가 양호하다는 측면을 고려하면 이 ELS 배상안은 결과적으로 일회성 이벤트로 보실 수 있지 않을까…"<br /><br />은행들이 배상안을 그대로 따를지 여부는 아직 알 수 없지만, 당국의 권고대로라면 적게는 수천억 원에서 많게는 1조 원에 달하는 배상액을 내놓아야 합니다.<br /><br />홍콩ELS 손실 규모가 가장 큰 KB국민은행의 경우 지난해 벌어들인 당기순이익의 1/3을 배상금으로 쓸 수도 있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고금리 장기화에 따라 한계차주가 늘어나는 등 신용 리스크도 커지고 있어, 은행권에선 올해 경영 환경이 매우 어려워질 거라 내다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국제신용평가사들도 줄줄이 부정적인 전망을 내놓았습니다.<br /><br />무디스는 한국 은행 시스템의 등급 전망을 '안정적'에서 '부정적'으로 낮췄고, 피치는 홍콩ELS 배상에 따라 국내은행들의 영업이익이 최대 30% 넘게 감소할 거라 예측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몇 년 '이자 장사', '성과급 잔치' 등 오명이 따랐던 은행들에 먹구름이 드리우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지운입니다. (zwoonie@yna.co.kr)<br /><br />#시중은행 #홍콩H지수ELS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