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공의들이 의료 현장을 이탈한 지 한 달이 되면서 곳곳에서 비상입니다. <br /> <br />수술이 많이 줄면서 병원으로 공급되는 혈액량도 줄었고, 보관만 하다가 폐기하는 양이 2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윤웅성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울의 한 헌혈의집. <br /> <br />혈액량이 부족할 때면 상품권이나 기념품을 추가로 주는 이벤트를 진행하기도 하지만, 요즘은 예외입니다. <br /> <br />전공의들 집단 사직으로 수술 건수가 줄면서 혈액 수요도 덩달아 감소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전공의들이 의료 현장을 이탈한 이후 대한적십자사가 의료 기관에 공급하는 혈액량은 이탈 이전과 비교해 10% 안팎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도 한 종류를 제외하고는 모두 10% 넘게 감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혈액을 보관하는 기간이 한정적이라는 겁니다. <br /> <br />피 전체를 뽑는 전혈은 35일, 성분채혈기를 통해 뽑아내는 혈소판은 5일에 불과합니다. <br /> <br />의료 공백 사태 이후 하루 평균 1.8건씩 혈액 폐기가 이뤄졌는데, 지난해 2~3월 하루 평균 0.8건과 비교하면 두 배가 넘습니다. <br /> <br />[김아람 / 152회 헌혈자 : 헌혈을 하는 만큼 수술이나 이런 것도 꾸준히 원활하게 잘돼야 하는데, 지금 현재 상황이 그렇지 못한 게 많이 아쉽죠.] <br /> <br />폐기된 혈액은 대부분 혈소판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혈소판은 피를 멎게 하는 기능으로 혈액암 환자들에게 필수적이고, 수술실에서도 빠질 수 없는 혈액 성분입니다. <br /> <br />대한적십자사는 버려지는 혈액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보관 기간이 짧은 혈소판보다 되도록 전혈 헌혈을 권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남은경 /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회정책국장 : 치료 재료로 쓰여야 자원이 폐기되는 것은 매우 안타까운 상황인 것 같고요. 불필요한 폐기가 일어나지 않도록 혈액 관리 그리고 수급에 대한 조절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.] <br /> <br />특히, 정부와 의료계가 양보 없는 강대강 대치를 이어가고 있어 혈액 폐기는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어두운 전망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윤웅성입니다. <br /> <br />촬영기자;온승원 <br /> <br />그래픽;지경윤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윤웅성 (yws3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319180845206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