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BM 경쟁 치열해지나…SK 이어 삼성도 본격 가세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현재 엔비디아의 고대역폭 메모리, HBM 공급 물량은 SK하이닉스가 사실상 독점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엔비디아가 삼성전자의 제품도 사들일 가능성을 내비쳤습니다.<br /><br />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의 HBM 시장 선점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인데, 우리 기업들이 세계 HBM 시장을 이끄는 상황 역시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김주영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젠슨 황 엔비디아 CEO의 '삼성전자 HBM을 테스트하고 있다'는 한 마디가 HBM 시장 선점 경쟁에 불을 붙였습니다.<br /><br />HBM은 기존 D램을 겹겹이 쌓은 반도체로, 많이 쌓아 올릴수록 데이터 저장용량이 크고 데이터 처리 속도도 빨라지는 것이 특징입니다.<br /><br />최근 AI가 급부상하면서 방대한 데이터를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는 HBM 수요도 늘고 있는 겁니다.<br /><br />AI 반도체 선두기업인 엔비디아는 그간 SK하이닉스의 HBM을 납품받고 있었는데, 이번 젠슨황 CEO의 언급으로 삼성전자 제품도 사들일 가능성이 커진 겁니다.<br /><br />이에 두 기업의 HBM 기술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SK하이닉스는 초고성능 AI용 메모리 신제품인 'HBM3E 8단'을 세계 최초로 양산했고, 이달 말 엔비디아에 납품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삼성전자도 주주총회에서 사업전략을 소개하며 "12단 적층 HBM을 통해 HBM3·HBM3E 시장의 주도권을 찾을 계획"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 "삼성전자랑 SK하이닉스가 거의 독점을 하고 있는 상황이고 당분간은 이 체제가 유지가 되겠죠. 이제 HBM 시장이 커질 거예요. 그래서 시장 점유율 자체로는 삼성이 더 높아질 수가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SK하이닉스 물량이 줄어들거나 그러진 않을 것 같아요."<br /><br />지난해 40억 달러 수준이던 전세계 HBM 시장 규모는 2027년 330억 달러까지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주영입니다. (ju0@yna.co.kr)<br /><br />#HBM #엔비디아 #삼성전자 #SK하이닉스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