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의대 증원, 정부가 쐐기를 박았습니다. <br> <br>2025학년도, 전국 40개 의대별로 늘어날 2천 명 배정을 확정한 겁니다. <br><br>서울은 0명. <br><br>비수도권 지역에 82%를 몰아줬습니다. 지방의 의료 공백을 우선 배려한 조치입니다. <br> <br>먼저 김민환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지난 15일 의대 정원 배정위원회 첫 회의 이후 닷새 만에 전국 40개 의대별 증원 배정 숫자가 확정됐습니다. <br><br>증원 2천 명 수치는 변하지 않았고 비수도권에 82%, 1639명이 배정됐습니다. <br><br>수도권 13개 의대 중 서울에 있는 의대 8곳의 정원은 한 명도 늘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다만 경인지역 의대 5곳만 나머지 18% 361명이 증원 배정됐습니다. <br><br>[이주호 / 교육부 장관] <br>"서울 소재 의대 학생당 평균 정원은 103명인데 반해 경인 지역은 서울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약 42명에 불과한 수준입니다." <br> <br>서울은 최상의 의료 여건을 갖췄고 대형·상급종합병원이 있는 점도 서울지역 의대정원을 늘리지 않은 이유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서울 대신 의료 여건이 열악한 지방과 경인 지역에 집중적으로 증원해 의료 격차를 줄이겠다는 겁니다. <br><br>현재 지방 의대 여건으론 증원된 의대생을 수용할 수준이 안된다는 지적에 대해선 인프라가 갖춰져 있고 지원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[한덕수 / 국무총리] <br>"현재 규정상 의대 교수 1명당 학생 수는 8명이지만, 전국 40개 의대의 평균은 교수 1명당 학생 1.6명에 불과합니다." <br> <br>정부는 오늘 발표된 의대 증원 내용은 더 이상 변경될 여지가 없다고 못 박았습니다. <br><br>[한덕수 / 국무총리] <br>"2천 명 증원은 의사 부족을 해소하기 위한 최소한의 숫자입니다." <br> <br>각 대학은 정부의 이번 정원 배정 결과를 반영해 오는 5월 신입생 모집 요강을 공개하게 됩니다. <br><br>채널A 뉴스 김민환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기범 <br>영상편집 : 이혜진<br /><br /><br />김민환 기자 kmh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