과일·채소 가격 비상…생산자 물가 3개월 연속 상승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 달 생산자물가가 1월과 비교해 0.3% 상승했습니다.<br /><br />세 달 연속으로 오름세인데요.<br /><br />특히 농수산물의 물가 상승폭이 컸습니다.<br /><br />먹거리 물가 불안이 우려되는 가운데, 정부가 기존 지원책을 더 확대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문형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생산자물가가 꺾이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1월보다 0.3% 높은 122.21.<br /><br />전월 대비 상승률로는 지난해 12월 0.1%, 1월 0.5%로 석 달 연속 오름세입니다.<br /><br />품목별로는 농산물이 2.6%, 수산물이 2.1% 오르면서 지난 달 생산자물가를 끌어올렸습니다.<br /><br />특히 감귤이 31.9% 급등했고, 배추, 우럭, 냉동오징어도 각각 26.3%, 57.9%, 6.1% 올랐습니다.<br /><br />먹거리 재료를 중심으로 생산자물가가 상승세인 만큼 식료품 물가 불안은 이어질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생산자물가는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되기 이전에, 생산자 사이에 거래되는 가격을 보여줍니다.<br /><br />그렇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1개월 정도의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가격 강세가 지속되고 있는 농축수산물에 대해 정부 역량을 집중하겠습니다. 주요 먹거리 체감 가격을 최대 40~50% 인하하도록 하겠습니다."<br /><br />이에 정부는 기존보다 지원 규모를 대폭 늘리며 각종 먹거리 물가 안정 대책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기존 농산물 납품단가 지원 품목에 배와 포도, 상추, 양배추 등 8개 품목을 새로 추가했습니다.<br /><br />품목별 지원 단가도 최대 두 배로 늘리고, 정부 할인지원율 역시 30%로 한시 상향했습니다.<br /><br />이밖에 수입과일 할당관세 적용 품목 확대, 오징어 등 수산물 비축물량 방출 등도 추진합니다.<br /><br />이렇게 정부가 물가 안정에 1,500억원을 긴급 투입하지만,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지는 미지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문형민입니다. (moonbro@yna.co.kr)<br /><br />#생산자물가 #물가안정대책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