부동산 PF 우려 여전한데…저축은행 9년 만에 적자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부동산 경기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금융권에서 건설업계 대출 연체율이 높아지고 있는데, 저축은행 상황이 특히 좋지 않습니다.<br /><br />이른바 '4월 위기설'이 재점화하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강은나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해 말 기준 저축은행 79개 사의 당기순이익이 5,559억원 손실로 집계됐습니다.<br /><br />저축은행 적자는 대규모 영업 정지로 이어졌던 '저축은행 사태' 상흔이 마무리된 2015년 이후 약 9년만.<br /><br />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, PF 대출 예상 손실에 대비해 대손충당금 적립을 확대한 영향이 크다는 설명이지만, 우려는 여전합니다.<br /><br />지난해 저축은행 대출 연체율은 6.55%로, 1년 전보다 3.14%포인트 2배 뛰었는데, 특히 PF 연체율이 6.94%에 달합니다.<br /><br />부동산 PF 대출 부실 우려는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전 금융권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말 기준 전체 금융권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2.7%로 1년 새 126% 넘게 폭등했습니다.<br /><br />다음 달 총선 이후 부동산 PF 부실이 본격적으로 터져 나올 수 있다는 이른바 '4월 위기설'이 사그라들지 않는 이유입니다.<br /><br /> "대손충당금 기준을 만족했다고 해서 그것만으로 다 부실 채권들을 해결할 수 없다는 거죠. 우발 채무나 숨겨진 채무가 없는지…."<br /><br />다만, 금융당국은 대출 만기가 분산돼있는 점 등을 들어 "관리 가능한 수준"이라며 지나친 우려를 재차 경계했습니다.<br /><br /> "PF 사업장의 사업성을 보다 정교하게 평가하고 부실 사업장 정리를 촉진하기 위해 사업성 평가 기준과 대주단 협약 개편을 추진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금융감독원은 PF 사업성 평가 기준과 대주단 협약 개편 방안을 다음달 중 공론화한다는 방침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강은나래입니다. (rae@yna.co.kr)<br /><br />#PF #저축은행 #연체율 #4월_위기설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