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의대 증원에 반대하며 집단행동에 나선 의료계에서 다른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습니다. <br> <br>집단행동에 참여하지 않는 의대생들이 자신들을 향한 조리돌림과 단체행동에 동참을 강요하는 행위를 거둬달라고 촉구하고 나선겁니다. <br> <br>정성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의대생들이 휴학계를 내고 돌아오지 않으면서 수업은 한 달 넘게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. <br> <br>유효휴학 신청건수는 8900여 건으로, 전체 의대생의 절반 가까이 됩니다. <br> <br>학교로 돌아온 의대생들은 극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됩니다.<br><br>[대학 관계자] <br>"지금 수업을 듣는 학생들이 있고요. 압박을 간접적으로 받을 지는 모르지만, 공부를 계속 하겠다는 학생들의 의사도 존중돼야 한다고 생각을 합니다." <br> <br>아런 가운데 집단행동에 참여하지 않는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성명을 냈습니다. <br><br>개인적으로 휴학계를 냈다면 학교로 돌아가는 결정을 하는 것도 존중해야 한다며, 전체주의적인 조리돌림과 폭력적 강요를 중단하라는 겁니다. <br><br>증원 반대를 위한 강경 행동에 동참하지 않으면 반역자로 여기는 분위기가 압도하고 있다며, 일부 학교에선 복귀를 원하거나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대면 사과 및 소명을 요구하고 있다고도 주장했습니다. <br> <br>학생들의 진짜 여론을 반영한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해 기명투표를 중단하고 무기명 원칙을 도입하라고도 요구했습니다. <br> <br>이들은 정부의 일방적인 의대 증원안에 반대한다면서도 병원·학교를 떠난 의료계 집단행동 역시 동의하지 않는다며 익명 SNS를 운영 중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성원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최동훈<br /><br /><br />정성원 기자 jungsw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