독일 "일·가정 양립돼야"<br /><br /> <br />독일은 오랜 저출산 상황을 겪다가 보편적 육아 지원과 양성평등 돌봄 제도 등을 마련하면서 조금씩 출산율 반등에 성공하는 나라입니다. <br /> <br />'일과 육아 병행'을 저출산 극복의 핵심으로 본 정부 기조에 맞춰, 기업 등 민간 영역에서도 가정 중심의 사회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동참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독일로 함께 가 보시죠. <br /> <br />독일인 남편과 함부르크에서 3살 난 아들을 키우는 동포 김수민 씨, <br /> <br />얼마 전 회사에 복직해 일과 육아를 양립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매주 30시간의 단축 근무를 하고 있어서 이후 시간에는 육아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수민 / 독일 함부르크 : 엄마가 6시, 7시까지 일을 해서 아기가 어린이집에 7시 6시까지 있어야 하는 그런 환경이 아니라는 거가 되게 좋은 것 같고요. (평균적으로) 남자가 소득이 좀 더 많아서 소득이 조금 적은 엄마들이 주 양육자가 되는 것 같아요. 대부분 20시간, 25시간, 30시간 많으면 35시간 이렇게 해서 복귀를 하더라고요.] <br /> <br />독일에서는 출산 장려를 위해 지난 2019년, 부모의 유연 근무를 제도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출산 후 1~5년까지 유연 근무 신청이 가능하고 시간제 근로 기간이 끝나면 원하는 시간대의 근무 형태로 복귀가 보장됩니다. <br /> <br />만약 육아휴직 중이라도 본인이 필요한 경우 시간제 근무가 가능한 것도 특징입니다. <br /> <br />[김수민 / 독일 함부르크 : 아마 한국에 있었으면 저희 부모님의 도움을 좀 많이 받지 않았을까 한국에서는 도움 없이는 아이 키우기 조금 힘든 것 같더라고요. '독일에서 돈을 더 준다, 독일에서 근무하면 단축 근무를 할 수 있어서 아이를 낳아야지' 이런 거는 아니었는데 아이를 낳고 보니까 이런 환경들이 아이를 키우는 데 큰 도움이 되더라….] <br /> <br />독일은 지난 1960~1970년대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 등과 맞물려 합계출산율이 급감했습니다. <br /> <br />약 50년 가까이 저출산 기조가 이어지다 지난 2011년~2021년 동안에는 소폭이지만 반등에 성공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러한 성공의 배경으로, 차별을 두지 않는 보편적 육아 정책과 일과 육아 양립을 가능하도록 기업 등 민간 영역이 함께 노력한 덕분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독일은 1975년부터 '아동 수당'을 첫째 자녀부터 지급하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'아동 수당'은 가족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만18세까지 지원되고 구직이나 직업훈련 등을 받을 경우 25세까지 지원됩니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겨울 (khj87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0324033457294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