러시아 대선에서 푸틴 대통령이 예상대로 5선에 성공해 30년 장기집권을 이어가게 되면서 앞으로 한러 관계와 한반도 정세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관심입니다. <br /> <br />북·러가 군사협력을 강화하고 우크라이나 전쟁을 둘러싼 한·러 간 입장 차도 여전한 상황이어서 당분간 관계 개선의 돌파구를 찾는 게 쉽지 않아 보입니다. <br /> <br />조수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푸틴 대통령이 러시아 대선에서 압승하며 5선에 성공하자, 미국과 유럽연합 등 서방 국가들은 선거가 공정하게 치러지지 않았다고 비판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우리 정부는 러시아 대선에 대한 언급은 삼가겠다며, 우크라이나 점령지 내에서 투표를 실시한 부분에 대해서만 우크라이나 주권 존중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 문제와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오랫동안 경색된 한러 관계를 의식해 공개적인 비판을 자제한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[김홍균 / 외교부 1차관 : 우리 정부가 국제사회와의 공조하에 우크라이나의 전쟁 종식 또 평화 회복을 위한 노력에 동참하면서 한편으로는 한러 관계를 관리하기 위한 노력도 병행하고 있습니다. 우리 국민·기업의 안전과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러시아와 계속 소통을 하면서….] <br /> <br />서방과의 관계 악화 속에 러시아도 우리나라와 경제협력 복원을 원하며 고위급 소통에 나서고 있지만, 우리 정부가 대러 제재에 계속 동참하고 있어 관계 개선의 폭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푸틴 대통령이 사실상 북한의 핵 보유를 용인하는 언급을 하면서 북·러 군사협력도 강화될 것으로 보여, 한러 관계 경색 국면은 상당 기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[김재천 / 서강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: 국제사회의 규범, 보편적인 가치에 맞는 선택을 계속하면 된다고 생각하고요. 단지 러시아와의 공식적인 외교채널이 단절된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그런 채널을 계속 이용해서 양국 관계를 관리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푸틴 대통령이 당선되자마자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축전을 보냈고, 푸틴 대통령은 이르면 5월 중국을 방문한 뒤 북한을 방문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24년 전에도 중국을 방문한 뒤 평양을 찾았던 푸틴 대통령이 이번에도 중국에 이어 북한을 찾게 되면 한미일 안보 협력에 맞선 북·러 간 군사협력의 수준과 범위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조수현입니다.... (중략)<br /><br />YTN 조수현 (sj1029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324070027539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