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 <br>오늘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발해 의대 교수들이 사직서 제출을 예고한 날인데요. <br> <br>또 오늘부터 주52시간 근무를 하겠다고 밝혔는데요. <br> <br>현장 상황 어떤지 취재기자 연결하겠습니다. <br> <br>어제 저녁, 대통령실이 전공의에 대한 처분을 유연하게 처리하라고 지시했는데, 홍란 기자, 교수들 입장은 변화는 있습니까?<br><br>[기자]<br> <br>상황은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. <br> <br>각 대학교수협의회별로 긴급 회의를 열고 있어 그 회의 결과에 따라 달라질 가능성이 남아 있긴 합니다. <br> <br>일단 교수들은 당초 밝혔던 대로 오늘 집단 사직서를 제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><br>다만 교수들이 사직서가 수리될 때까지는 진료하겠다고 밝힌 상태입니다.<br><br>병원들은 사직서 수리를 하지 않을 것으로 보여 당장 의료 현장에 큰 혼란이 발생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전국 의과대학 교수 비대위와 전의교협 관계자 등에 따르면 상당수 의대 교수들은 계획했던 대로 오늘 대학 측에 사직서를 일괄 제출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40개 의대 대부분이 집단 사직서 제출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> <br>교수들은 사직서를 제출하되 사직서 수리 시까지 외래진료, 수술, 입원 등 진료시간은 법정 근로시간인 주 52시간으로 줄이겠다는 건데요. <br> <br>진료시간은 점차 줄어들 것으로 보이는데 다음달 부터는 외래진료를 단축하겠다고 선언하기도 했습니다. <br><br>의사와 정부의 갈등은 이번 주 중 전공의들에 대한 면허정치 처분이 내려지면 더 격화될 가능성이 컸는데요. <br> <br>대통령실이 어제 오후 면허정지 처분에 대해 "유연처리를 모색하라"고 지시해 그동안 막혀있던 정부와 의료계 사이에 대화의 물꼬가 트일 가능성도 보입니다. <br> <br>이르면 오는 정부는 전공의에 대한 면허정지 처분을 유예할 가능성도 높습니다. <br><br>하지만 의료계는 의대증원 2천 명에 대한 원점 재검토를 요구하고 있어 이번 의정 갈등이 해결 국면을 맞을 지는 미지수입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정책사회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김지향<br /><br /><br />홍란 기자 hr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