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술이 발전하고 있고, 경제적으로도 회복기지만 사람들의 삶에 대한 만족도는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이승은 기자! <br /> <br />각 부처 통계 가운데 우리나라 사회상을 알 수 있는 통계청의 '2023 사회지표'자료가 나왔는데요, 어떤 점이 흥미롭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삶에 만족하는 사람과 자신의 일이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중이 모두 감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행정연구원이 조사한 내용인데요, <br /> <br />우리 국민 가운데 삶에 만족한다고 답한 사람이 지난해 74.1%로 한 해 전보다 1.3%p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나이별로 보면 40대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, 60세 이상이 가장 낮았습니다. <br /> <br />특이한 점은 소득수준이 가장 높은 계층이 월 500~600만 원을 버는 계층보다 삶의 만족도가 낮았습니다. <br /> <br />자신의 일이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중도 68.4%로 한 해 전보다 4.2%p 낮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사람들이 가장 크게 느낀 사회갈등은 경제적 갈등이 아닌 보수와 진보 갈등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사회적 갈등을 느낀 정도는 전반적으로 낮아졌지만 유독 보수와 진보 항목은 0.3%p 상승했습니다. <br /> <br />19세에서 29세 청년층은 수도권과 지방 갈등을 가장 크게 느껴 중장년층과 인식의 차이를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저출산고령화와 관련해서는 인구가 줄고 있는 반면 가구 수는 오히려 늘고 있는 점이 눈에 띕니다. <br /> <br />1인, 2인 가구가 늘면서 평균 구성원 수가 줄고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22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가구 수는 2천238만 가구인데요. <br /> <br />5년 만에 220만 가구, 11%나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가구주가 65세 이상인 경우가 533만 2천 가구로 지난 2000년보다 3배 이상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맞벌이 가구 비중은 통계 작성이래 가장 높았습니다. <br /> <br />2022년 기준 46.1%로 한 해 전보다 0.2%p 높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15~29세 가구의 맞벌이 비중이 50.1%인 데 비해 50대 맞벌이 가구 비중이 가장 높아 여성의 경력 단절 상황을 보여줍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YTN 이승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: 오훤슬기 <br />그래픽 : 유영준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승은 (sele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326130023681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