무너진 볼티모어 다리 인근에서 수색작업이 한창이지만 추가 구조 소식은 들리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리가 통째로 무너지는 어처구니없는 사고였지만 일단 테러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엔 볼티모어 사고 현장 연결해 보겠습니다. 권준기 특파원! <br /> <br />지금 현장 분위기는 어떻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사고가 발생한 지 14시간 넘게 지난 가운데 현장에서는 실종자 수색작업이 한창입니다. <br /> <br />머리 위로는 수시로 구조 헬기가 지나다니고 강물에는 보트도 보입니다. <br /> <br />제가 서 있는 여기서 불과 5백m 정도만 더 가면 다리가 끊어진 구간인데, 당국은 접근을 철저히 차단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가 사고 현장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이어서 미국 국내외 취재진이 장사진을 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뉴욕과 워싱턴DC 사이 지점에 놓여 있는 키 브리지는 하루 차량 3만 대가 지나다니는 다리입니다. <br /> <br />사고 시각이 새벽 1시 반이어서 교각 위를 지나던 차량은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분주한 시간을 피해 한밤중 교각을 수리 중이던 인부 8명은 모두 강물로 빠졌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2명을 건졌지만, 이 가운데 한 명은 중태입니다. <br /> <br />구조 당국은 나머지 6명을 찾기 위해 잠수부를 투입해 수색 작업에 집중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사고가 난 항구가 미국 동부에서 아주 중요한 수출입 관문이라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그렇습니다. 이곳 볼티모어항은 미국 최대 자동차 수출입 항구입니다. <br /> <br />대서양으로 통하는 미 대륙 동부의 주요 관문이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사고 직후 볼티모어 주 정부는 항구 운영을 무기한 중단했는데 이에 따라 미국 내 자동차 공급에도 차질이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사고가 발생한 뒤 조 바이든 대통령은 회견을 열고 최대한 빨리 사고현장을 찾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또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지만, 테러 가능성은 없다고 거듭 확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은 수색 구조 활동에 집중할 때라며, 구조활동을 마친 뒤 신속하게 다리 복구에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키 브리지를 다시 짓는 비용은 연방정부가 대겠다며 의회의 협조를 당부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볼티모어 키 브리지에서 YTN 권준기 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권준기 (jkwo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0327053332985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