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갈팡질팡' 바이든 행정부…이번엔 '하마스 해체 방안' 논의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유엔 안보리의 첫 가자지구 휴전 촉구 결의에 힘을 실어준 미국이 이번엔 이스라엘 달래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스라엘의 라파 공격 계획에 대해서도 사실상 '불가 방침'에서 '민간인 피해 최소화'로 한발 물러선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이준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140만 명의 피란민이 몰린 라파를 공격하겠다는 이스라엘의 군사작전 계획에 대해 미국은 공개적으로 반대 입장을 표명해왔습니다.<br /><br /> "바이든 대통령은 라파에서의 대규모 지상 작전은 실수이며 우리가 지지할 수 없는 것이라는 점을 매우 분명히 했습니다."<br /><br />미국은 워싱턴에서 열린 이스라엘과의 국방장관 회담을 계기로 또 한 번 우려 입장을 밝혔는데.<br /><br /> "현재 가자지구에서는 민간인 사상자 수가 너무 많고 인도적 지원 규모가 너무 적습니다. 가자지구는 인도적 재앙을 겪고 있으며 상황은 더욱 악화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미묘한 온도 변화도 감지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, 오스틴 장관은 갈란트 이스라엘 국방장관에게 민간인 보호 대책을 강조하면서도 라파 공격을 말리는 모습을 보이지는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이 신문은 또 미국 측 고위당국자들이 갈란트 장관과의 비공개 회담에서 라파에 숨은 하마스 병력을 확실히 해체하기 위한 단계적 작전을 논의했다고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의 이 같은 행보는 결국 유엔 안보리 휴전 결의에 반발하는 이스라엘을 달래기 위한 차원이란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결의안 표결 과정에서 거부권을 포기해 이스라엘을 압박하는 조연 역할을 했던 미국은 뒤늦게 "구속력 없는 결의"라고 표현해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이스라엘의 라파 작전 시점은 이제 얼마 남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미국 의원단을 만난 자리에서 라파 지상전 강행 의지를 재확인하며 가자지구에서 승리하는 데 불과 몇 주밖에 남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이준삼입니다. (jslee@yna.co.kr)<br /><br />#가자전쟁 #라파공격 #휴전결의 #국장장관회담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