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“우리 관할 아니다”…선관위-지자체 책임 공방

2024-03-29 8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이것이 궁금해지죠.<br> <br>과연 선관위는 설치된지도 몰랐던 거냐. <br> <br>관리 책임자인 선관위, 선거 시작 전에는 지자체 책임이라고 합니다. <br> <br>조현진 기자 보도 보시고 아는기자 이어갑니다.<br><br>[기자]<br>[A씨 / 유튜버 ] <br>"사전투표 풀영상 촬영에 성공했습니다. 해당 증거로 검찰에 부정선거 고발조치를 했습니다. 투표장에 들어갔던 실제 인원과 개표 인원과는 차이가 발생했습니다." <br><br>A씨가 5달 전 유튜브에 올린 영상입니다. <br> <br>지난해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당시 선관위의 방해를 뚫고 촬영하는 법을 알아냈다고 주장합니다. <br> <br>그러면서 사전투표소를 오가는 사람들을 찍은 영상을 그대로 올렸습니다. <br><br>지난 20일엔 2022년 대통령선거 사전투표소에서 찍었다는 영상도 올렸습니다. <br><br>관련 영상이 다섯달 넘게 온라인에 떠돌았는데도 선거관리위원회는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불법카메라 논란이 확산된 뒤에야 오늘 긴급 점검을 했고, 최종 점검은 사전투표 하루 전인 다음달 4일에 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그러면서도 사전투표소 관리 책임에는 선을 그었습니다. <br> <br>사전투표소가 차려지는 행정복지센터나 공공기관은 선관위 소유가 아니라는 이윱니다. <br> <br>반면 지자체들은 개방된 공간 특성상 사전투표소를 일일이 지키는데 한계가 있다고 반박했습니다. <br> <br>[지방자치단체 관계자] <br>"군구에서 관리하고 있지만 행정력에 한계가 있다. 동사무소를 못 들어가게 하면 말이 안되잖아요." <br> <br>관련 기관들이 책임 공방을 벌이는 가운데 사전투표소 관리에 빨간 불이 켜졌습니다. <br><br>채널A 뉴스 조현진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윤재영 김덕룡 <br>영상편집 : 김문영<br /><br /><br />조현진 기자 jjin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