가자 휴전협상 카이로서 재개…"기근상태 진입" 우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간 휴전논의가 곧 재개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양측이 좀처럼 타협점을 찾지 못하는 사이, 가자북부에선 식량 위기의 최고 단계인 '기근'에 접어들었다는 관측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황정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가자지구에 억류 중인 인질석방과 휴전합의를 위한 협상이 재개됩니다.<br /><br />이집트 현지언론 등에 따르면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이집트 카이로에서 협상 테이블에 다시 마주 앉을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앞서 협상단 철수를 결정했던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"모종의 여지가 있을 것"이라며 대표단을 다시 보내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양측의 휴전 논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'즉각적 휴전촉구' 결의 직후 중단된 상태입니다.<br /><br />당시 하마스가 인질 40명과 팔레스타인 수감자 800명 맞교환하자는 이스라엘 측 제안을 거부하면서 결렬됐는데, 이스라엘 역시 하마스가 요구한 영구휴전과 철군을 완강히 거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휴전논의가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는 가운데 인도적 위기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미 국무부 고위 당국자는 가자지구 북부 일부 지역이 이미 식량 위기의 최고 단계인 기근 상태에 들어갔을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습니다.<br /><br />이집트와 요르단, 프랑스 3국 외무장관은 인도적 지원 보장을 위한 즉각 휴전을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 "인도주의적 상황은 비극적입니다. 가자지구의 250만 명은 모든 것이 부족합니다. 프랑스는 라파에 대한 어떠한 군사행동도 공식적으로 강력히 반대합니다."<br /><br />이스라엘은 구호품 약탈을 막고, 치안을 확보하자는 취지에서 다국적 평화유지군 배치를 추진 중이지만 '두 국가 해법'이 보장되지 않는 한 아랍국가들의 참여는 불투명하다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황정현입니다. (sweet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