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리나라 주력 수출 산업 가운데 하나인 철강이 건설 경기 부진과 중국산 저가 제품 공세에 고전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철강업체들은 품질을 무기로 친환경 분야의 미래 먹거리 사업을 개척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태민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해 철강 업종의 영업이익은 1년 전보다 40% 넘게 급격히 쪼그라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건설 경기가 위축되면서 수요가 감소한 데다 외국산 저가 철강 제품까지 물밀듯 들어왔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국내에 수입된 중국산 열연강판은 179만 톤으로 1년 만에 26%나 늘어났고, <br /> <br />엔화 약세를 앞세운 일본산 제품 역시 30% 가까이 수입량이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재윤 / 산업연구원 소재·산업환경실장 : 경제와 고용에 미치는 철강 산업의 영향이 크다 보니까 중국에서의 생산량·가동률을 유지하는 정책 등으로 수출을 늘리기 위해서 원가 이하로 저가 수출을 하고 있을 가능성도 현재로써는 높아 보이는….] <br /> <br />엎친 데 덮친 격으로 철강 업종은 앞으로 점점 까다로워지는 외부 환경 규제에도 대처해야 하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10월부터 유럽에서 도입된 '탄소국경조정세'가 대표적입니다. <br /> <br />전환 기간이 끝나는 오는 2026년부터 유럽에 철강 제품을 수출하려면 탄소 배출량을 신고하고 추가적인 탄소 비용을 내야 합니다. <br /> <br />[조상현 /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 : 제조업 중심 수출 국가인 경우에는 생산하는 것뿐만 아니라 유럽까지 운송 과정에서 탄소도 배출되지 않습니까? 일단은 불리한 조건에서 출발할 수밖에 없는 거죠.] <br /> <br />점점 어려워지는 경영 환경 속에 국내 철강 업체들은 품질의 강점을 앞세워 미래 먹거리 발굴에 나서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친환경 에너지로 주목받으며 연평균 30%가 넘는 고성장이 기대되는 해상풍력발전 사업이 대표적입니다. <br /> <br />부식이나 진동, 저온 같은 극한 환경에도 안정성을 갖춘 고품질 철강 수요가 늘면서 국내 업체들의 세계 시장 진출도 본격화하고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[포스코 관계자 : 해상 풍력의 경우, 설치 이후 해상 환경에서 20년 이상 운영하기 때문에 내구성·안전성이 중요한데요 포스코는 높은 강도와 내구성을 지닌 고품질 철강재를 공급하면서 시장 경쟁력을 확보해나가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수출과 경제 발전을 이끌었던 국내 철강 산업이 내우외환의 위기를 기회로 바꿔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.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태민 (tmkim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401052224148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