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가에 환율도 불안…정부 '물가 잡기' 총력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정부가 '물가 잡기'에 나섰지만, 국민들 장바구니 부담은 여전합니다.<br /><br />최근에는 국제 유가와 원·달러 환율까지 불안해 한동안 '3%대' 물가 상승률이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강은나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정부가 지난달 물가 안정 자금 1,500억원을 긴급 투입한 이후에도 사과 등 과일의 소매 가격이 등락을 거듭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최근에는 채소 가격도 심상치 않습니다.<br /><br />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양배추 한 포기 소매는 1일 기준 평균 5,409원으로 일주일 새 37%, 배추 한 포기는 7% 올랐습니다.<br /><br />기상 악화로 작황이 부진해진 영향입니다.<br /><br />여기에 물가에 영향을 주는 유가와 환율도 불안한 흐름입니다.<br /><br />서부텍사스산 원유 5월분은 지난달 28일 기준 배럴당 83.17달러에 거래를 마쳤는데, 연초보다 15% 정도 올랐습니다.<br /><br />산유국들의 감산 연장, 홍해 지역 지정학적 위기 등이 유가를 밀어 올리고 있는 겁니다.<br /><br />또 글로벌 달러 강세에 원화 환율은 1일 종가 기준 넉 달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수입 물가를 자극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2월에 이어 3월에도 '3%대' 물가 상승률이 이어질 것이란 전망 속에 정부는 다음 달부터 물가가 하향 안정화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.<br /><br /> "작년에 농사가 그렇게(작황이 좋지 않게) 됐는데, 다행히도 지금까지는 예년 평년 수준으로 좋은 상태라고 해서 마음이 굉장히 안심이 된다고 할까요. 그럼에도 긴장의 끈을 놓지 말고…."<br /><br />한편, 정부 권고로 식품업계는 국제 원자잿값 하락분을 반영해 이달부터 밀가룻값을 일부 내리기로 했지만, 가정용 제품에 한정돼 가공식품·외식 물가 연쇄 인하 효과는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됩니다.<br /><br />최상목 부총리는 가공식품이나 식재료의 부가가치세를 인하하자는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요청에 "검토하겠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강은나래입니다. (rae@yna.co.kr)<br /><br />#물가 #장바구니 #유가 #환율 #밀가루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