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북한이 어제 발사한 신형 극초음속 중장거리 탄도미사일 영상을 6분에 걸쳐 공개했습니다. <br> <br>북한은 "모든 미사일의 고체연료화를 완전무결하게 실현했다"라고 주장하고 나섰는데요. <br> <br>속도가 빠르고 비행 궤도가 복잡해 요격이 어렵다고도 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우리 군은 북한의 발표가 과장됐다고 평가했습니다. <br> <br>김민곤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커다란 미사일을 실은 차량 옆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나란히 걷습니다. <br> <br>발사장에 도착하자 탄두 덮개를 활짝 열고 미사일을 곧게 세우더니, 희뿌연 연기를 뿜어내며 미사일을 쏘아 올립니다. <br> <br>북한이 어제 발사한 신형 극초음속 중장거리(IRBM) 탄도미사일 '화성포-16나'형의 모습이 공개되는 순간입니다. <br> <br>[조선중앙TV] <br>"김정은 동지께서는 우리 국방과학기술력의 절대적 우세를 과시하는 또 하나의 위력적인 전략공격무기가 태어났다고…" <br><br>북한은 1분 45초 동안 발사 장면을 편집 없이 내보내며 "모든 미사일의 고체연료화, 탄두조종화, 핵무기화를 완전무결하게 실현했다"고 보도했습니다.<br><br>북한의 주장대로라면 대남 공격용 단거리 탄도미사일(SRBM)과 미 본토 겨냥용 대륙간탄도미사일(ICBM)에 이어 주일미군과 괌 미군기지 타격용 IRBM까지 고체 연료화를 완성해 신속 공격이 가능해진 겁니다.<br><br>또 북한은 이번 미사일이 최대 고도 101㎞에서 하강하다가 재차 상승하는 '풀업 기동'으로 1000㎞를 비행했다며 기존 원뿔형과 다른 '글라이더형' 탄두도 공개했습니다.<br><br>하지만 우리 군은 "2차 풀업 기동은 없었고 비행거리도 600여km로 과장된 것"으로 평가했습니다. <br> <br>또 "실전 배치까지는 상당 기간이 걸릴 것"이라고 일축했습니다.<br> <br>채널A 뉴스 김민곤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강민<br /><br /><br />김민곤 기자 imgone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