타이완에서 25년 만에 강진이 일어난 가운데 우리나라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우려가 다시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타이완처럼 '불의 고리'인 환태평양 지진대에 속해있지는 않지만, 지난해 한반도에서 발생한 지진이 50%나 증가하는 등 더 잦아진 지진이 걱정입니다. <br /> <br />김민경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미 알려진 대로 타이완은 전 세계 지진의 약 90%가 발생하는 환태평양조산대, '불의 고리'에 속합니다. <br /> <br />지난 1월 규모 7.6의 강진이 발생한 일본 역시 마찬가지입니다. <br /> <br />유라시아판 내부에 있는 우리나라는 오랜 기간 안전지대로 여겨졌지만 지난 2016년 이후 상황이 달라졌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6년 경주에서는 규모 5.8의 강진이, 이듬해 포항에서는 규모 5.4의 대형지진이 공포를 더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6년 경주 지진 직후 급격히 증가했다가 감소세를 보였던 국내 지진은 2021년부터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명수 / 기상청 지진전문분석관 : 지난해 지진 발생 횟수가 이전에 비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이고 특히 동해 해역에서 이례적으로 연속지진이 발생했었습니다.] <br /> <br />지난해 한반도에서 발생한 규모 2.0 이상의 지진은 106차례. <br /> <br />예년 평균보다 무려 50%나 늘어난 수치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11월 경주에서는 규모 4.0의 지진이 다시 일어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들어 지금까지 일어난 규모 2.0 이상 지진도 16차례에 이릅니다. <br /> <br />핵실험으로 지반이 약해진 함경북도 길주에서의 지진이 7차례로 가장 많았지만, 전남 여수와 신안, 제주와 경주 등 발생 지역도 다양합니다. <br /> <br />[김광희 /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교수 : 우리나라에 있는 단층들은 판과 판의 경계에 해당하지는 않지만, 그것보다는 작은 규모의 단층들이 여럿 존재하고요. 크고 작은 지진들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습니다. 경우에 따라서는 우리나라에서도 규모 6.7 정도 되는 지진까지도 발생할 수 있는 단층들이 있다고 생각이 들어요.] <br /> <br />우리나라가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인식이 확산하면서, 대응 체계 강화를 촉구하는 목소리는 더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민경입니다. <br /> <br />영상편집:양영운 <br />그래픽:이원희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민경 (kimmin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40404172202646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