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괜찮나…대만 강진에 약점 노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대만을 흔든 강진에 세계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인 TSMC도 한때 가동을 멈췄는데요.<br /><br />세계 반도체 제조 공장의 대부분이 지진 위험이 높은 대만과 일본에 몰려있는 만큼, 반도체 공급망의 취약성이 드러났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<br /><br />김주영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25년 만에 대만을 흔든 7.2의 강진에 세계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인 TSMC의 가동도 한때 멈춰섰습니다.<br /><br />TSMC는 "일부 생산라인에서 반도체 설비 일부가 손상됐지만 극자외선 노광장비를 포함한 주요 설비는 손상되지 않았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TSMC 공장이 지진 발생지와 반대편에 위치해 있어 직접적인 시설 피해는 적지만, 현지 언론에서는 가동중단으로 예상되는 피해액이 6천만 달러에 달할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.<br /><br />반도체 제조 공정 특성상 미세한 진동에도 민감하고, 공장이 잠깐이라도 멈추면 투입됐던 소재를 모두 폐기해야 하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대만 2위 파운드리 업체인 유나이티드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도 일부 공장의 작업을 중단했습니다.<br /><br />전세계 반도체 제조 공장의 4분의 3은 아시아에, 특히 첨단 반도체 생산 능력은 모두 아시아에 집중돼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지진 위험이 높은 대만과 일본에만 약 200개의 반도체 제조 공장이 있습니다.<br /><br />또 주요 반도체 파운드리 생산공장은 대만의 TSMC와 우리나라의 삼성전자가 운영하고 있어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의 취약성이 드러났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<br /><br /> "(공급망) 다각화가 되는 건 옳은 방향이에요. 지금같이 너무 세계에서 두 군데만이 공급한다고 이렇게 하는 건 더 위험하죠."<br /><br />다른 지역으로 생산 라인을 분산해 리스크 관리에 나설 필요가 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주영입니다. (ju0@yna.co.kr)<br /><br />#대만강진 #TSMC #반도체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