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스라엘에 최후통첩 날린 미국…무기 지원은 계속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스라엘의 가장 든든한 우군, 미국이 정책 변화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.<br /><br />구호단체 차량까지 오폭한 이스라엘을 무조건 감싸줄 수만은 없다는 판단 때문인데, 무기 지원 정책에도 변화를 가져올지 관심이 쏠립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정호윤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"격분"이란 표현까지 쓰며 이스라엘이 일으킨 구호단체 차량 오폭 사건을 비판했던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.<br /><br />사건 사흘 만에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가진 전화통화 분위기는 이전과 사뭇 달랐습니다.<br /><br />백악관은 가자지구 민간인 피해를 막을 이스라엘의 실질적인 조치를 주문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전폭적이고도 일방적이었던 미국의 지원을 상황에 따라 거둘 수도 있음을 시사한 사실상 최후통첩으로 읽힙니다.<br /><br /> "민간인 피해를 줄이기 위한 실질적인 조치들, 특히 구호단체 활동가와 민간인들에 대한 (이스라엘의) 조치를 보고 싶습니다."<br /><br />유럽을 방문 중인 블링컨 국무장관도 정책 변화 가능성을 시사하며 이스라엘의 각성을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이번 오폭 사건 직전 미국 정부가 이스라엘에 2천개의 폭탄을 지원하는 안을 승인한 것으로 알려져 빈축을 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스라엘의 공격으로 가자지구 민간인 피해가 속출하는 걸 비판하면서도 무기 지원 정책은 유지해 온 셈입니다.<br /><br /> "미국은 여전히 이스라엘의 방어권을 돕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갖고 있습니다. 그러므로 2천 파운드 폭탄과 F-35에 대한 보도들은…."<br /><br />앞서 미국은 24조원 상당의 전투기 50대도 이스라엘에 판매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흔들림 없던 미국의 대이스라엘 정책은 기로에 놓였습니다.<br /><br />이번 오폭 사건이 근본적인 정책 변화를 불러올지, 공은 다시 이스라엘로 넘어갔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정호윤입니다. (ikarus@yna.co.kr)<br /><br />#이스라엘 #오폭 #네타냐후 #가자정책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