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소멸 위기' 경북을 '아시아 이주 허브'로…이민정책 본격 추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역 소멸 위기에 처한 경북은 생산가능인구까지 급감하면서 지역경제 위기 등 악순환으로 이어질 우려가 큰데요.<br /><br />경북도는 이런 위기 극복을 위해 전국 지자체 중 처음으로 경북형 이민정책을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정지훈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역 농산물을 가공해 대기업 등에 납품하는 이 공장엔 직원 절반이 외국인 노동자입니다.<br /><br />힘든 일을 기피하는 데다 인구가 줄어든 농촌 지역에선 일손 구하기가 쉽지 않습니다.<br /><br />부족한 인력을 외국인 노동자들이 대신하고 있지만 취업비자, 체류 기한 등 문제로 업체는 어려움을 호소합니다.<br /><br /> "4년농 8개월 동안 일을 하고 있는데 이게 숙련이 되고 일을 다 알 만하면 또다시 떠나고, 또 그 간 사람이 다시 와서 일을 한다는 보장도 없고…"<br /><br />경북지역은 낮은 출생률과 청년 인구 유출 등 인구 급감으로 지역 경제 동력이 약화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경북도는 생산연령 인구 중 청년인구 확보를 위한 대안으로 외국인 이민정책 추진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현재 경북 인구의 4%, 10만여 명 수준인 외국인 수를 2배 넘게 늘리겠단 계획입니다.<br /><br /> "1단계는 2027년까지 그리고 2단계는 2030년까지 해서 외국인을 10만 명 이상 추가로 유치할 계획입니다."<br /><br />경북형 이민정책 기본계획의 핵심은 해외 인재 유치와 정착 지원, 도민과 이민자가 공동체를 이루는 경북형 개방사회 조성 등 3가지가 핵심입니다.<br /><br />외국인 유학생 지원 조례 제정에서부터 한국어 교육, 외국인 자녀 보육료 지원, 외국인 보금자리 조성과 의료비 지원 등 다양한 정착 지원책을 검토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우선 지원 예산은 도비로 마련하고 추후 국비 등 필요 재원을 확보한다는 방침입니다.<br /><br />다만 이민 정책의 핵심인 비자 문제는 경북형 이민정책 추진을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.<br /><br />도는 원활한 비자 발급을 위해 비자 발급 권한 일부를 지방정부가 갖는 지역 참여형 비자 제도인 광역비자(R 비자) 도입을 정부에 건의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비자 발급 권한은 정부가 가져야 한다는 관련 부처의 강경한 기본 입장과 불법체류자 문제 등으로 인한 출입국관리법 개정 등 논의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.<br /><br />도는 우선 지역별 비자 할당 방안 등 다양한 해법을 마련해 정부 관계 부처와 협의해 나갈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정지훈입니다. (daegurain@yna.co.kr)<br /><br />[영상취재 최문섭]<br /><br />#지방소멸 #경북형_이민정책 #외국인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