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국내 유명 가구업체들이 10년간 담합을 해오다가 적발돼서 1천억원에 가까운 과징금을 부과받았습니다.<br> <br>신축 건물에 설치하는 빌트인 가구 입찰을 서로 짬짜미한 건데 어찌나 많이 한건지, 아파트 분양 원가마저 뛰었을 정도입니다.<br> <br>곽민경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신축 아파트에는 싱크대나 붙박이장 같은 빌트인 가구가 들어갑니다.<br><br>건설사들은 최저가 입찰을 통해 가구업체를 선정합니다. <br> <br>이 과정에서 지난 2012년부터 2022년까지 31개 가구업체가 담합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> <br>입찰 건수만 738건, 관련 매출액은 1조 9457억 원에 달합니다. <br><br>낙찰 예정자가 이메일이나 카카오톡을 통해 들러리사에 견적서를 전달하고 들러리사들이 금액을 높여 입찰에 응하는 방식입니다.<br><br>가구업체들은 주사위 굴리기로 낙찰 순위를 조율하거나 제비뽑기를 해 낙찰 순번을 정하기도 했습니다.<br><br>공정위는 31개 업체에 931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했습니다. <br> <br>이중 한샘과 현대리바트, 에넥스 빅3의 과징금 비중은 60%를 넘습니다.<br> <br>빌트인 가구 비용은 분양원가에도 포함돼 업체들은 가구당 25만 원 정도의 이익을 본 것으로 추정됩니다. <br> <br>[황원철 / 공정거래위원회 카르텔조사국장] <br>"가구업체 진술에 따르면 원가율 대비 약 5% 정도 이익을 얻었다고 진술을 한 바 있습니다. (빌트인 가구가) 84㎡ 평형 기준으로는 한 500만 원 정도가 원가인데요. 그 정도를 보시면…." <br><br>공정위는 이 외에도 70개 건설사의 발주 입찰을 추가 조사 중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곽민경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정승호 <br>영상편집: 변은민<br /><br /><br />곽민경 기자 minkyung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