신축 아파트 빌트인 가구, 경쟁입찰로 업체 선정 <br />10년 간 특판가구 담합 업체 과징금 931억 부과 <br />현대리바트·한샘·에넥스 등 31개 가구업체 <br />관련 매출 1조 9,457억…"84㎡ 기준 25만원 이익"<br /><br /> <br />주요 건설사들의 신축 아파트 빌트인 가구 입찰에서 무려 10여 년 동안 담합한 가구업체들이 과징금 931억 원의 제재를 받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들의 담합은 분양원가를 올리는 데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이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새 아파트에는 싱크대나 옷장 등 빌트인 가구가 설치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판가구로 불리는데, 건설사들은 경쟁입찰로 납품업체를 선정합니다. <br /> <br />금융위기로 위축됐던 건설 경기가 2011년 이후 살아나자, 경쟁이 심화된 특판가구 입찰에서 담합이 시작됐습니다. <br /> <br />주사위 굴리기로 낙찰 순위를 정한 흔적입니다. <br /> <br />가장 숫자가 많이 나온 순서대로 낙찰 순위를 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해 입찰 예상 목록을 만들어 제비뽑기로 낙찰 순번을 정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낙찰예정 업체는 견적서를 미리 다른 업체들에게 전달했습니다. <br /> <br />입찰 참가 자격 유지를 위해 입찰 실적이 필요한 다른 업체들은 들러리를 섰습니다. <br /> <br />이 이메일에서 '흔들라'는 말은 입찰가를 높이라는 뜻입니다. <br /> <br />공정거래위원회는 이렇게 2012년부터 10여 년 동안 738번 24개 건설사 특판가구 입찰에서 담합한 가구업체들에게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931억 원을 부과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현대리바트와 한샘, 에넥스 등 31개 가구업체가 대상으로, 관련 매출은 2조 원에 육박합니다. <br /> <br />업체들은 담합으로 84㎡ 기준 25만 원 정도 이익을 얻었다고 진술해 담합은 분양원가 상승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. <br /> <br />[황원철 / 공정거래위원회 카르텔조사국장 : 원가율 대비 약간 5% 정도 이익을 얻었다고 진술을 한 바 있습니다. 특판가구가 84㎡ 평형 기준으로는 한 500만 원 정도가 원가인데요. 그 정도를 보시면 대충 이 사건의 이득을 평가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이번 담합 건은 검찰에 고발돼 형사재판도 진행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공정위는 이번에 제재를 내린 중·대형 건설사 입찰 외에 70개 소형 건설사 발주 입찰도 조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승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: 김희정 <br />디자인 : 김진호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승은 (sele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407224028271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