타이완 지진으로 TSMC의 첨단 반도체 생산이 차질을 빚으면서 미국의 반도체 생산 자국화 흐름에도 탄력이 붙었습니다. <br /> <br />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잇따라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할 것으로 보여 그 후속 효과도 기대됩니다. <br /> <br />김태민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삼성전자가 미국 텍사스에 짓는 반도체 생산시설 규모를 대폭 늘릴 거란 관측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170억 달러를 투자하겠다는 3년 전 기존 계획에서 440억 달러, 우리 돈으로 약 59조 원까지 규모를 끌어올릴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미국 정부와의 반도체 보조금 협상 과정에서 투자 확대가 논의됐을 거란 분석인데 그 규모만 60억 달러를 웃돌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최근 미국 정부는 자국 기업인 인텔에 195억 달러 지원을 결정하는 등 천문학적인 자금을 쏟아붓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략자산으로 분류되는 첨단 반도체를 미국에서 생산하도록 유도한다는 계획인데 이번 타이완 대지진으로 TSMC가 생산 차질을 빚으며 그 중요성이 한층 부각 됐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 만큼 삼성전자 역시 미국 기업의 현지 위탁생산 수요를 끌어오기 위해 대규모 투자 확대를 단행한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[연원호 / 대외경제연구원 경제안보팀장 : 첨단 노드 같은 경우에는 TSMC가 거의 압도적으로 시장을 점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부분에서 사실은 삼성이 텍사스에 들어가서 시장 점유율을 올리는 인센티브가 삼성한테는 있다고 보이거든요.] <br /> <br />인공지능 관련 수요가 폭증하면서 메모리 반도체 투자도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SK하이닉스는 최근 38억 달러를 투자해 미국 인디애나에 고대역폭 메모리, HBM 생산기지를 짓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동안 적자에 시달렸던 '낸드 플래시' 가격까지 반등하며 업황에 파란불이 들어오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[유혜미 / 한양대학교 경제금융대학 교수 : 글로벌 경기침체도 조금 가닥을 잡혀가면서 반도체에 대한 수요도 살아나고 있는 상황에 여기에 AI 열풍까지 가세를 하다 보니까 반도체 업황은 앞으로 계속해서 좀 좋은 모습을 유지할 것으로….] <br /> <br />반도체 시장이 본격적인 회복 국면에 접어들면서 앞으로 폭발할 반도체 수요에 대비한 투자 경쟁이 한층 더 격화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태민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: 박정란 <br /> <br />디자인 : 지경윤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태민 (tmki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408205149461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