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인허가 단축'…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속도 낸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앞서 정부가 경기 남부에 세계 최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를 만들겠다고 밝힌 바 있죠.<br /><br />여기에는 민간이 622조원을 투입하는데, 정부는 인허가 단축 등 정책 지원으로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의 신속한 조성에 힘을 보탠다는 방침입니다.<br /><br />김주영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용인과 평택, 화성 등 경기 남부 지역에 조성되는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.<br /><br />현재 이 지역에는 19개의 반도체 생산팹과 2개의 연구팹이 가동 중입니다.<br /><br />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2047년까지 모두 622조원을 투입해 생산팹 29개와 연구팹 5개를 새롭게 들일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정부는 2030년이면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에서 월 770만장 규모의 웨이퍼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는데, 이는 세계 최대 규모입니다.<br /><br />정부는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에 속도를 붙이기 위한 지원책을 추가로 내놨습니다.<br /><br />핵심은 인허가 절차를 단축하는 겁니다.<br /><br />먼저 환경영향평가 사전 컨설팅 제도를 통해 신속한 토지 보상에 나서 평가 기간을 기존보다 대폭 줄이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용수 확보 문제도 기업과 지자체의 용수 공급시설 설치계획이 마련되는 대로 신속하게 공급방안을 확정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또 전력과 용수 등 기반시설 설치가 지자체 반대로 지연되는 것을 막기 위해 첨단산업법 개정으로 설치에 협조하는 지자체에 재정 지원을 추진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합니다.<br /><br />글로벌 반도체 주도권을 두고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, 핵심 기술 확보에 속도전을 펼치겠다는 겁니다.<br /><br /> "결국 반도체 산업에서는 개발된 기술들을 얼마나 빨리 시장에 적용할 수 있느냐 이런 부분들이 중요해서 투자 속도가 중요하거든요."<br /><br />이 밖에 반도체 특성화 대학과 대학원을 추가로 선정해 전문 인력 양성하고, 반도체 소부장 기업과 칩 제조 기업 간 협력을 돕는 양산 연계형 실증 테스트베드 조기 구축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주영입니다. (ju0@yna.co.kr)<br /><br />#반도체메가클러스터 #삼성전자 #SK하이닉스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