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도체 보조금 전쟁에 인센티브 방안 마련하기로 <br />’AI 3대 국가’ 도약 목표로 구체적 구상 발표 <br />"AI와 AI 반도체에 2027년까지 9조 4천억 투자" <br />"혁신기업 성장 위한 1조 4천억 규모 펀드 조성"<br /><br /> <br />반도체를 둘러싼 세계 각국의 경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정부가 반도체 공급망 조성에 속도를 높이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갈수록 중요해지는 인공지능 기술에서 3대 국가로 도약하겠다며 오는 2027년까지 9조 4천억 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을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양일혁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1월 정부는 민생토론회에서 622조 원을 들여 '반도체 메가 클러스터'를 조성하겠단 구상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경기 남부 2천백만 제곱미터 면적에 반도체 생태계를 만들어 2030년, 매달 웨이퍼 770만 장을 생산하는 세계 최고의 반도체 생산기지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반도체 산업을 둘러싼 세계 각국의 패권 다툼이 갈수록 치열해지자 정부가 인프라 구축에 속도를 내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삼성전자가 투자하는 곳은 신속한 토지보상 등을 통해 원래 계획보다 조성 기간을 대폭 단축하고, <br /> <br />SK하이닉스가 투자하는 곳은 기존에 확보한 용수 27만 톤에 더해 최대한 신속하게 용수 공급 방안을 확정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경쟁국들의 반도체 보조금 전쟁에 대응해 국내에 투자를 진행하는 첨단기업들을 대상으로 인센티브 방안도 조속히 마련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AI 시대가 본격화하면서 반도체 산업의 미래가 AI에 달려 있다고 보고 정부는 AI 반도체에 초점을 맞추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'AI 3대 국가' 도약을 목표로 구체적인 구상도 등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현재의 반도체로는 성능이나 에너지 비용 문제 때문에 지속 가능성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해 각 분야에 기술 혁신을 추구하겠단 겁니다. <br /> <br />[윤석열 / 대통령 : 지금 벌어지고 있는 반도체 경쟁은 산업 전쟁이자 국가 총력전입니다. 그런 만큼 전시 상황에 맞먹는 수준의 총력 대응 체제를 갖춰야 합니다.] <br /> <br />이를 위해 윤석열 대통령은 인공지능과 AI 반도체 분야에 연구개발 투자를 대폭 확대해 2027년까지 9조 4천억 원 투자를 약속하면서, <br /> <br />1조 4천억 원 규모 펀드를 조성해 AI 반도체 혁신 기업의 성장을 돕겠다고 언급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이와 함께, 최근 타이완 지진으로 반도체 공급망 문제를 점검하고, 국내 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불확실성이 남아 있는 만큼 상... (중략)<br /><br />YTN 양일혁 (hyuk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409181952664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