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선 후 물가 향배는…유가·공공요금 '복병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총선이 끝나자 그동안 억눌러 온 공공요금이 줄줄이 오르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옵니다.<br /><br />국제 유가는 안 그래도 높은 물가에 그야말로 '기름'을 붓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이재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물가 안정을 위해 올해 2분기까지 4개 분기 연속 전기 요금을 동결해온 정부.<br /><br />하지만, 이르면 3분기부터 요금 인상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43조원에 이르는 한국전력의 막대한 누적 적자 때문입니다.<br /><br /> "국민 경제의 부담이나 국제 에너지 가격, 환율 등 다양한 종합적인 고려를 통해 단계별로 요금 정상화하는 방안도 저희가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." (총선 지나고 나서 요금 인상합니까?) "저희가 시기는 확정할 수 없고…."<br /><br />배럴당 90달러 선까지 치솟은 국제 유가가 전기·가스 등 공공요금 상방 압력을 더하는 상황.<br /><br />대중교통 요금은 이미 줄줄이 인상이 예고됐습니다.<br /><br />하반기 서울 지하철 요금이 150원 오르고, 경기도와 인천 역시 기본요금을 인상할 가능성이 큽니다.<br /><br />유류세 정상화 시기는 향후 물가 관리의 주요 변수로 꼽힙니다.<br /><br /> "국제유가 불안이 지속된다면 유류세 인하를 24년 4월 이후에도 추가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하겠습니다."<br /><br />하지만, 2021년 11월 이후 유류세 인하 조치를 이미 8번이나 연장한 가운데 줄어드는 세수는 정부에 큰 부담입니다.<br /><br />1,500억원의 긴급가격안정자금 투입에도 두달 연속 3%대를 기록한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국제 유가 상승과 공공요금 인상 압력까지.<br /><br />'2%대 안착'을 목표로 한 정부의 물가 관리 정책에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. (trigger@yna.co.kr)<br /><br />#물가 #유가 #유류세 #공공요금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