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헌저지선은 지켰지만 총선에서 참패하면서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물러났죠. <br /> <br />격랑에 휩싸인 여당에서 한동훈 전 위원장 이후 체제가 관심입니다. <br /> <br />화면 보시죠. <br /> <br />일단 국민의힘은 윤재옥 대표권한대행체제로 총선 이후를 수습해나가게 됩니다. <br /> <br />두 가지 시나리오가 있는데요. <br /> <br />다시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가거나 조기에 전당대회를 열어 새 당 대표를 선출하는 방안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향후 2년간 전국 단위의 선거가 없다는 점에서 전당대회를 열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립니다. <br /> <br />그럼 새 당대표 후보로는 누가 거론되는지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총선에서 살아 돌아온 나경원, 안철수, 권영세, 김태호 당선인 등이 거론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중진이면서도 당 기반이 탄탄하다는 평가를 받는 인물들입니다. <br /> <br />먼저 나경원 당선인은,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7차례나 지원유세에 나서며 집중 견제를 했는데도, 서울 동작을에서 최종 당선됐죠. <br /> <br />존재감을 재확인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. <br /> <br />당선 이후 집권당으로서의 책임감과 입법부로서 감시와 견제의 의무 모두 소홀히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안철수 당선인은 경기 성남분당갑에서 원조 친노 이광재 전 의원을 꺾고 당선됐죠. <br /> <br />선거 기간에도 윤 대통령에게 쓴 소리를 하면서 비윤으로 분류됐다는 점에서 차기 당권 도전 가능성이 제기됩니다. <br /> <br />안철수 당선인은 당선 이후 SNS에 미움받을 용기를 거론하면서 계속 용산에 국민의 눈높이에서 건의해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한 사람의 당권 예상 주자는 권영세 당선인입니다. <br /> <br />대통령실이 있는 용산에서 5선 고지에 오르면서 용산을 지켜냈다는 평가를 받는데요. <br /> <br />친윤이면서도 중립적인 이미지가 강점으로 평가됩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 김태호 당선인의 당 대표 출마 여부도 관심입니다. 여권이 지켜낸 낙동강 벨트에서 당선되며 험지를 탈환했다는 평가가 나오는데요. <br /> <br />대권 주자로도 거론됐던 중진의 개혁 성향이라는 점에서 차기 당권 주자로도 거론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412080352632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