변동성 커지는 국내 금융시장…환율·증시도 '흔들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원·달러 환율이 최근 1년 5개월 만에 1,370원을 넘었고, 코스피 지수도 2,700선을 내줬습니다.<br /><br />국내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옅어진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감과, 22대 총선 결과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문형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최근 들어 원·달러 환율과 증시 등 우리 금융시장이 흔들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12일 기준, 원·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11.3원 오른 1,375.4원에 장을 마쳤습니다.<br /><br />환율이 1,370원을 넘어선 건 2022년 11월 이후 1년 5개월 만입니다.<br /><br />'기업 밸류업' 등 증시 부양책 덕분에 파죽지세로 오르던 국내 증시도 상승세가 꺾였습니다.<br /><br />코스피 지수는 3월 말 2,757선으로 마감하며 2년여 만에 최고치를 보였지만, 불과 3주도 되지 않은 시점에서 2,700선이 깨졌고 결국 2,681선까지 주저앉았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의 3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시장 예상치를 웃돌자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이 옅어졌고, 결국 환율 안정과 증시 상승의 발목을 잡았습니다.<br /><br /> "최근 현황은 미국의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, 피벗(방향전환)에 대한 기대가 많이 뒤로 밀리면서 달러화 강세가 되는 면이 있고…."<br /><br />또, 정부가 추진 중인 밸류업 프로그램은 각종 세금정책의 개정이 동반돼야 하는데, 야당의 총선 압승으로 지속 가능성도 우려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원화의 평가 절하, 그리고 증시 자금 이탈을 막기 위해서는 한국 경제의 기초체력이 튼튼해야 하는 상황.<br /><br />하지만 수출, 투자, 소비 등 3대 경제지표는 엇박자를 보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"제조업 수출 중심의 경기 회복 흐름이 이어지고 있지만, 재화소비 둔화와 건설 경기 부진 등이 나타나고 있다"고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불확실한 경제지표 방향성에 국내 금융시장의 발이 묶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문형민입니다. (moonbro@yna.co.kr)<br /><br />#환율 #증시 #미국_금리 #밸류업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