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총선이 끝나면서 의료계도 정부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는 모습입니다.<br><br>사직서를 제출했던 의대 교수들이 오는 25일부터 실제 병원을 떠날 수 있다며 정부를 향해 대화의 장을 마련하라고 촉구했습니다.<br> <br>서주희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어제 총회를 연 의대교수들, 오는 25일 집단사직 의사를 다시 확인했습니다. <br> <br>대규모 사직은 의료붕괴를 가속화할 것이라며 정부가 진정성 있는 대화의 장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습니다. <br><br>교수들은 정부의 의대정원 증원 방침에 반발하며 지난달 25일부터 사직서를 제출해왔습니다. <br> <br>현행법상 사직서 수리가 없어도 한달이 지나면 효력이 생기는 만큼 병원을 떠날 수 있다는 주장입니다. <br><br>교수들 사이에선 25일 이후 현장을 떠나겠다는 강경론이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집니다. <br> <br>[배장환 / 충북대의대교수 비대위원장] <br>"학생들, 전공의 가르쳐서 좋은 의사 만들고 그러는 건데 그게 안되면 대학에 있을 이유가 없다. 이렇게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고 저도 그중에 한 명이고" <br> <br>전공의들도 모레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을 고소하기로 하는 등 강경한 자세입니다. <br> <br>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대위원장은 "병원들은 의정갈등의 피해자 행세를 하고 있고 의료 체계의 상업화, 시장화를 방치해온 국가의 책임이 지대하다고 비판했습니다. <br> <br>교수들에 대해선 "착취 사슬의 중간관리자"라 지칭하기도 했습니다.<br> <br>상황은 악화되고 있지만 양측 간 대화는 여전히 지지부진합니다. <br> <br>한덕수 국무총리가 사의를 밝히면서 정부 내 구심점이 사라진 상태, 의사협회도 차기 회장과 비대위원장 갈등으로 어수선한 상황입니다. <br> <br>총선 이후 침묵을 지켜온 정부가 모레 중대본 브리핑을 예고한 가운데 어떤 입장을 내놓을지 주목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서주희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이혜진<br /><br /><br />서주희 기자 juicy12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