올림픽 코앞 태권도 인구↑ <br />한류 열풍에 호신술도 인기<br /><br /> <br />오는 7월 하계올림픽을 앞둔 프랑스에서는 태권도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프랑스 태권도 1세대들의 노력으로 1960년대 후반부터 현지에 보급된 태권도는, <br /> <br />주로 남성이 배우던 인기 무술에서 최근 한류 열풍에 힘입어 여성들의 호신술로도 입소문이 났다는데요. <br /> <br />프랑스 파리의 태권도장으로 함께 가 보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절도 있는 자세로 돌려차기 기술을 연습합니다. <br /> <br />나이도 성별도 다양한 사람들이 한 데 모여 태권도를 배우는 현장입니다. <br /> <br />오는 7월 올림픽 개최를 앞둔 프랑스에서 태권도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싸 엘 게랍 / 태권도 수강생 : 더 강해지고 싶어서 태권도를 시작했습니다. 훌륭한 기술들을 배울 수 있어서 태권도를 좋아합니다.] <br /> <br />[루카스 카잘레 / 태권도 수강생 : 태권도를 배우면 격투와 자기 자신의 정신 수련에 대한 모든 것도 배울 수 있는 측면이 있습니다. 정신과 육체 두 가지의 균형을 배울 수 있어 좋습니다.] <br /> <br />프랑스에 태권도가 도입된 것은 지난 1960년대 후반, <br /> <br />당시 프랑스에는 가라테와 검도 등 일본 무술이 먼저 보급됐던 만큼 태권도는 '한국 가라테'로 불려야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점을 안타깝게 여긴 교사 출신의 프랑스 태권도 1세대, 레미 몰레 사범은 프랑스 최초의 태권도 기술서를 집필하며 태권도 알리기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[레미 몰레 / 프랑스 태권도 1세대 : 무술 잡지에 태권도에 관한 약 250~300여 개의 기사를 썼습니다. 제 글솜씨를 태권도를 알리는 데 쓰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. 그래서 1991년 태권도를 소개하는 '태권도의 발견'이라는 첫 번째 책을 집필했어요.] <br /> <br />몰레 사범 등 1세대들은 이후에도 태권도에 대한 홍보를 꾸준히 전개하며 프랑스 태권도의 기틀을 마련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러한 노력으로 태권도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2000년 시드니 올림픽부터 2020년 도쿄올림픽까지, <br /> <br />프랑스는 총 6번의 올림픽에서 모두 메달을 획득할 정도로 태권도 강국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. <br /> <br />[페드로 바로조 / 태권도 사범 : 태권도는 올림픽 경기 종목 스포츠입니다. 매우 중요한 점입니다. 태권도는 프랑스 젊은 세대가 좋아하고 미래를 향해가는 스포츠입니다.] <br /> <br />이처럼 국제무대에서의 활약에 더해 전 세계적인 한류 열풍이 불면서 프랑스 내 태권도 인구는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정지윤 (khj87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0414003143712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