삼성·SK, HBM 주도권 경쟁…인재 확보 총력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전 세계적으로 인공지능 기술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AI 반도체 수요도 급증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반도체 업체들도 AI 반도체 기술 선점에 나서기 위한 인력 쟁탈전을 벌이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김주영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삼성전자가 2019년 없앤 고대역폭메모리, HBM 전담 조직을 최근 새로 만들었습니다.<br /><br />HBM은 D램 여러 개를 쌓아서 데이터 처리 속도를 끌어올린 제품인데, 방대한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해야 하는 AI 반도체의 핵심 부품입니다.<br /><br />새로 꾸리는 전담팀에서는 5세대 HBM의 수율을 안정화하고 6세대 HBM 개발에 주력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삼성전자는 올 초 HBM 태스크포스를 출범하기도 했는데 반도체 부문 각 사업부에서도 인력을 차출해 이른바 '에이스'를 한 조직에 모았습니다.<br /><br />여기에 HBM 기술자를 확보하기 위해 외부 영입뿐 아니라 사내 채용도 진행 중입니다.<br /><br />현재 SK하이닉스가 쥐고 있는 HBM 시장 주도권을 가져오겠다는 겁니다.<br /><br />SK하이닉스도 이달 말까지 HBM 개발과 관련한 경력사원을 뽑습니다.<br /><br />작년 말에도 HBM 패키지 제품 개발 등 관련 부문에서 경력사원을 모집하는 등 수시로 우수 인재 확보에 나서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기술 선점이 시급한 상황에서 반도체 업계의 인재 영입전에도 불이 붙은 겁니다.<br /><br /> "이게 옛날부터 쭉 왔던 게 아니고 작년부터 갑자기 생긴 수요잖아요. 기업들이 준비가 안 돼 있죠. 당연히 사람이 없죠."<br /><br />AI 기술의 폭발적인 확산으로 인력 공급이 수요를 못 따라가는 상황이라는 설명입니다.<br /><br />한편 글로벌 HBM 시장은 올해 141억 달러에서 2029년 377억 달러 수준으로 커질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주영입니다. (ju0@yna.co.kr)<br /><br />#AI반도체 #HBM #삼성전자 #SK하이닉스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