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스라엘을 향한 이란의 미사일·무인기(드론) 공격을 막기 위해 미국 해군 이지스 구축함이 최신형 요격미사일인 SM-3를 발사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. 미군이 훈련이 아닌 실전에서 SM-3를 사용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. 한국군이 북한의 핵·미사일을 방어하기 위해 계속 도입을 검토하던 무기여서 실전 역량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. <br /> <br /> 14일(현지시간) 미 군사전문매체 워존은 “(전날) 지중해의 미 해군 알레이버크급 구축함이 이스라엘로 향한 이란의 미사일과 드론을 격추하는데 동원됐다”며 “이 군함이 작전 과정에서 SM-3 요격미사일을 실전에서 처음 발사했다는 강력한 징후가 있다”고 보도했다. <br /> <br /> 이스라엘방위군(IDF)에 따르면 이란은 지난 13일 밤부터 다음날 새벽까지 170기 이상의 드론, 120기 이상의 탄도미사일, 30기 이상의 순항미사일을 이스라엘 본토를 향해 발사했다. IDF는 이중 99%가 공중에서 요격됐다고 밝혔다. <br /> <br /> 이와 관련, CNN은 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“미군도 해군 함정과 전투기를 통해 이란 드론 70여대, 탄도미사일 3기 이상을 격추했다”고 전했다. 특히 탄도미사일의 경우 미 해군이 지중해 동부에 배치한 이지스 구축함 2척에 탑재된 미사일 방어 체계로 격추한 것으로 파악됐다. 이같은 미사일 요격에 SM-3 미사일을 썼다는 얘기다. <br /> <br /> 지금까지 미군은 한국 해군도 참여하는 북한 탄도미사일 방어 목적의 해상 연합훈련(퍼시픽 드래곤 훈련) 등에서 SM-3를 실사격한 적이 있지만, 실제 전투에서 사용한 적은 없었다. <br /> <br /> 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242649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