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국 진출하니 신재생 산업 초토화…EU·호주, 조사·보조금으로 반격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중국이 탈탄소에 도전하며 녹색에너지 사업 투자에 적극적인데요.<br /><br />자국 내 수요보다 많이 생산하면서 전 세계 신재생에너지 업계가 타격을 받고 있는데, 이러다 보니 미국을 비롯해 EU와 호주까지 적극 대응에 나서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베이징에서 배삼진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해양풍력단지 건설이 한창인 중국 동부의 저장성.<br /><br />작년 말 기준 670개의 터빈이 가동 중으로 설치 용량은 400만kWh, 터빈 한 바퀴의 면적이 축구장 5배 크기로 1회 회전만으로 가정에서 쓰는 5~6일 분량의 전기 생산이 가능합니다.<br /><br />중국의 신재생에너지 사용 비율은 전체 전력량의 50%를 넘었는데, 내륙은 태양광, 해안 쪽은 풍력이 주에너지원입니다.<br /><br /> "재생 에너지원은 보조 전력원에서 주 전력원으로 전환되기 시작했습니다. 해상풍력과 육상 태양광을 최대한 활용해 녹색·저탄소 에너지 발전을 추진해 양질의 경제발전을 추진해야 합니다."<br /><br />중국이 녹색에너지 전환, 탈탄소에 속도를 내면서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시장에서도 주도권을 잡았습니다.<br /><br />중국 내 태양광 발전 수요는 전체 전력 수요의 36.4%에 불과하지만 수출시장 점유율은 70%를 넘고, 풍력발전 설비는 60%가 중국산입니다.<br /><br />2007년 세계 신재생 에너지의 30%를 공급했던 유럽은 관련 산업이 사실상 무너졌습니다.<br /><br />육상 터빈의 경우 지멘스가메사의 터빈 가격은 메가와트 당 13억원이지만 중국은 4억원에 불과합니다.<br /><br />2050년 유럽이 주전원으로 사용할 계획인 해상풍력도 이대로라면 사실상 사업을 접을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유럽이 중국 풍력터빈 공급업체에 대한 조사에 착수하겠다고 밝힌 것도 이런 이유로, 중국이 지나친 보조금을 지급해 제품 단가를 낮추고 있다고 직격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열차와 태양광에 이어 벌써 4번째 조사인데, 중국은 유럽이 사실을 심각하게 왜곡하고 있다며 반발했습니다.<br /><br />대선을 앞둔 미국 역시 중국발 공급과잉 문제를 도마에 올린 상태로 중국은 지원과 투자를 늘리며 적극 대응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유럽은 무역보호주의라는 큰 막대기를 휘둘러 정상적인 국제 녹색무역과 투자에 제한을 가하고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데 있어 이중잣대를 적용하고 있습니다"<br /><br />중국과 유럽은 2032년까지 7배 급성장이 예상되는 해상풍력 시장에서 격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여기다 호주까지 청정에너지 사업에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하면서 풍력시장 경쟁은 더 가열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베이징에서 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. (baesj@yna.co.kr)<br /><br />#신재생에너지 #풍력발전 #해상풍력 #중국·유럽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