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동발 위기에 유가 불안…한국 경제 '악재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'중동 리스크'가 물가 관리의 '복병'으로 다시 떠올랐습니다.<br /><br />국제 유가가 급등해 가뜩이나 높은 물가를 더 밀어 올리면,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도 미뤄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강은나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연초부터 강세를 지속해온 국제 유가.<br /><br />브렌트유와 두바이유 선물 가격은 최근 배럴당 90달러를 넘나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중동이 세계 원유 생산의 3분의 1가량을 담당하는 가운데, 국제 에너지 업계에서는 "호르무즈 해협이 봉쇄되면 브렌트유 가격이 배럴당 130달러까지 뛸 수 있다"는 전망도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에너지 대부분을 수입하는 한국으로서는 유가 급등에 따른 타격이 우려되는 상황.<br /><br /> "유가가 이렇게 변동성이 커지고 계속 고유가 상태로 간다면, 물가를 계속 자극할 것 아닙니까? 이제 시작이라는 것이 가장 우려스러운…."<br /><br />중동 리스크로 안전 자산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면서 '강 달러' 현상도 당분간 지속할 가능성이 큽니다.<br /><br />국제 유가와 원·달러 환율의 상승은 수입 물가 상승으로 이어져, 결국 시차를 두고 국내 소비자물가를 끌어올리는 요인이 됩니다.<br /><br />한국은행의 물가 안정 목표치 '2%대 상승률' 달성 시기가 늦어질수록, 금리 인하 시점도 미뤄질 가능성이 있습니다.<br /><br /> "일시적인 변화가 있으면 저희 (물가) 전망을 바꿀 필요는 없지만, 좀 오래 지속되면 전망을 수정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."<br /><br />기획재정부는 중동 리스크 대비 긴급대외경제점검회의를 열고, 관계기관합동 비상대응반을 가동해 금융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산업통상자원부는 "원유 등을 충분히 비축하며 대비 중"이라며 상황에 따라 비상체계를 가동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연합뉴스TV 강은나래입니다. (rae@yna.co.kr)<br /><br />#이란 #이스라엘 #중동 #유가 #물가 #대외경제점검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