보조금 지급 확정…미국에서 막 오른 파운드리 삼국지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인텔과 TSMC에 이어 삼성전자도 미국 정부로부터 반도체 보조금을 약속받으면서 반도체 위탁생산, 파운드리 삼국지가 미국에서 펼쳐지게 됐습니다.<br /><br />TSMC를 삼성전자와 인텔이 추격하는 양상인데 기술력이 승부처가 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김종력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미국이 지난 2022년 제정한 반도체법.<br /><br />자국 내 투자 기업에 반도체 보조금과 연구·개발 비용 등 총 527억달러를 지원하는 것이 골자로, 반도체 생산시설을 미국 내로 끌어와 공급망을 강화하는 게 목표입니다.<br /><br />이에 대만 TSMC와 우리나라의 삼성전자, 미국의 인텔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이 미국 내 투자에 나섰고, 미국 정부는 최근 세 회사에 대한 보조금 지급을 확정했습니다.<br /><br />인텔에는 85억달러 보조금에 저리대출 110억달러, TSMC에는 보조금 66억달러에 저리대출 50억달러, 삼성전자에는 보조금 64억달러를 지급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이로써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 주도권을 놓고 미국 정부의 막대한 보조금을 받은 3사가 치열한 경쟁을 벌일 전망입니다.<br /><br />현재는 TSMC를 삼성전자와 파운드리 재진입을 선언한 인텔이 추격하는 양상인데 지난해 4분기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은 TSMC가 61.2%, 삼성전자는 11.3%였습니다.<br /><br /> "파운드리 사업 자체가 고객사와의 네트워크 관계 그리고 기술력 이 두 가지가 최대 승부의 키 포인트가 됩니다. 업력으로 따라잡기 힘든 네트워크보다는 첨단 기술력을 우선으로 앞세우는 것이 삼성전자에 유리한 전략이 될 거 같습니다."<br /><br />다만 미국 정부의 보조금은 공짜가 아닙니다.<br /><br />보조금을 받는 기업은 반도체 관련 중국 투자가 제한되고, 초과 이익 일부를 미 정부와 공유해야 합니다.<br /><br />또 생산 장비와 원료명 등도 까다롭게 확인받아야 해 자칫 기술 유출의 우려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종력입니다.<br /><br />#반도체법 #삼성전자 #인텔 #TSMC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