의대증원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협의체 구성을 주문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. 협의체 구성 방식을 두고 정부와 야당의 시각차가 있는데다, 의료계에서는 1년 유예를 전제로 한 대화를 주장하고 있어 난항이 예상된다. <br /> <br /> 더불어민주당의 비례 위성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 의료개혁특별위원회는 16일 여의도 국회서 기자회견을 열고 “국민ㆍ의료계ㆍ정당ㆍ정부 4자협의체 구성을 합의하고, 10년 의료개혁 로드맵을 의대 정원과 함께 포괄적으로 타결해야 한다”고 촉구했다. 이날 기자회견엔 김윤ㆍ위성락ㆍ박홍배ㆍ임광현ㆍ정을호 당선인이 참석했다. <br /> <br /> 서울대 의대 교수인 김윤 당선인은 의대 증원을 주장해온 인사다. 그는 “정부가 갈등 해결의 유일한 당사자로서 나설 게 아니라 국민과 국회가 참여하는 4자협의체에 공을 넘기는 게 더 바람직한 해결방법”이라며 “4월 말~5월 초가 문제 해결의 골든타임”이라고 주장했다. <br /> <br /> 정부는 대통령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를 협의체의 형태로 이미 제시한바 있다.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지난 1일 의료개혁특위에 대해 “국민과 의료계, 전문가, 환자, 소비자단체, 정부 등 다양한 구성원이 참여하는 협의체 형태가 될 것”이라고 설명했다. <br /> <br /> 조규홍 복지부 장관도 이날 중앙사고수습본부(중수본) 회의를 주재하며 “정부는 지금의 상황을 조속히 수습하고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비상진료체계 유지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”며 “의료개혁 추진에 있어서도 각계의 합리적인 의견을 경청해나가겠다”고 밝혔다. <br /> <br />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서 “의료개혁을 계속 추진하되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242979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