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I의 두 얼굴…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작전에 이용되기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AI, 잘 쓰면 약이지만 악용하면 독이 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핵 발견에 비유할 정돈데요.<br /><br />이런 양면의 속성이 곳곳에서 현실로 일어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앞으로 어떻게 AI를 제어해 가야 할지, 고민이 필요합니다.<br /><br />최덕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국내 환율과 증시까지 휘청이게 한 중동 갈등.<br /><br />이 한 가운데에도 인공지능 AI가 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영국 가디언은 이스라엘군이 AI 표적 생성 플랫폼을 가자지구 지상 작전에 투입했다고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드론 영상과 감청한 통신 내용 등을 바탕으로 타격할 목표물을 생성해 미사일 타격 등에 활용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.<br /><br />이런 AI 기술은 원래 전투기 모의 훈련 '도그 파이트' 등에 활용되던 게 발전된 것이란 분석입니다.<br /><br />인명 피해를 줄이고 훈련 효과를 높이던 기술이 인명 피해를 내는 데 활용되기 시작한 겁니다.<br /><br />환경 분야에서도 양면성이 보입니다.<br /><br />기후 변화 모델 분석을 위한 천문학적 계산에 AI가 활용될 가능성이 점쳐지는데, 역설적으로 엄청난 계산을 하는데 그만큼 많은 전력이 들어 온난화를 가속화할 수 있는 겁니다.<br /><br /> "핵무기하고 똑같습니다. 핵이 우리한테 전기를 발생시켜주고 또 의료 기술로도 사용되지만 동시에 이제 무기로도 사용되니까. (AI를) 무조건 막기는 아마 어려운 시대가 된 것 같고 상당히 지혜롭게 우리가 전략을 짜야 되지 않을까."<br /><br />AI를 통제하면서 발전하기 위한 국제적 협약 필요성은 꾸준히 제기되고 있지만, 강제력을 지닌 기구 등장은 요원합니다.<br /><br />국제에너지기구가 AI 개발로 인한 전력수요 급상승을 경고하고 있지만 말 그대로 경고에 그치고 있고, AI의 핵 타격 위치 지정 등 우려를 내놓는 과학자들도 나오고 있지만 답 없는 메아리에 그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덕재입니다. (DJY@yna.co.kr)<br /><br />#AI #핵 #전쟁 #양면성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