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은 건강 상의 이유를 들며 윤석열 대통령의 회동 제안을 거절했습니다.<br><br>표현은 정중했지만, 정치권 일각에선 한 전 위원장이 일부 여권 인사들의 패배 책임론에 불편한 심경을 드러낸 것이란 분석도 나옵니다. <br> <br>사퇴 열흘 만에 침묵을 깬 한 전 위원장이 "배신하지 않을 대상은 국민 뿐"이라는 입장을 낸 것도, 나름의 승부수를 던진 것이란 해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최수연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윤석열 대통령의 대통령실 초청에 일단 거절 의사를 밝혔습니다. <br><br>한 전 위원장은 채널A에 "지난 19일 대통령실로부터 오는 월요일 오찬이 가능한지 연락을 받았고, 건강상의 이유로 참석하기 어렵다고 정중히 말씀드렸다"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건강상의 이유를 들었지만 '친윤' 진영의 공세에 대한 반감이 담긴 거절이라는 해석도 나왔습니다. <br> <br>'한동훈 비대위' 소속 비대위원은 " 확인해보니 비대위원들 대부분 대통령실로부터 연락을 받은 게 없다"며 "금시초문"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대통령실의 진정성이 담기지 않은 초청이라고 보고, 불신이 있는 상태에서의 만남은 불필요하다는 판단도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한 전 위원장은 어젯밤 총선 패배의 책임을 지고 비대위원장직에서 물러난 지 9일 만에 처음 SNS에 글을 올렸습니다. <br><br>"저는 무슨 일이 있어도 여러분을, 국민을 배신하지 않을 것"이라며 "정치인이 배신하지 않아야 할 대상은 국민뿐"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<br>그러면서 "잘못을 바로잡으려는 노력은 배신이 아니라 용기"라고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연일 자신을 향해 대통령을 배신했다고 공격하고 있는 홍준표 대구시장에 대해 대통령과의 이견을 바로잡으려는 건 배신이 아니라 용기라고 반박한 겁니다. <br><br>한 전 위원장은 "정교해지기 위해 시간을 가지고 공부하고 성찰하겠다"고도 했습니다.<br> <br>[한동훈 /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(지난 11일)] <br>" 어떻게 해야 국민의 사랑을 되찾을 수 있는지를 고민하겠습니다. " <br><br>일각에서는 전당대회 불출마 시사라는 해석도 나왔지만 한 전 위원장 측은 "출마 여부와는 무관한 내용"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수연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이철 <br>영상편집 김민정<br /><br /><br />최수연 기자 newsy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