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미국이 곤충의 습격을 앞두고 초긴장 상태입니다. <br> <br>수백 조 마리의 매미떼가 조만간 미 대륙을 덮칠 것으로 예고됐습니다. <br> <br>221년만에 최대 규모인데, 이 매미떼가 인류 종말급 재앙을 가져올거란 뜻에서 '매미겟돈'이란 말까지 등장했습니다. <br> <br>김민곤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나뭇잎에 매미들이 빽빽이 앉아있습니다. <br> <br>잠깐 채집해도 수십 마리가 잡힙니다. <br><br>미국에서 각각 13년, 17년마다 땅속에서 기어 나와 성충이 되는 '주기 매미'들인데, 올해엔 221년 만에 처음으로 이 두 종류의 매미들이 한꺼번에 나옵니다. <br><br>많으면 수백 조 마리가 미 중부와 동남부 등 16개 주를 뒤덮을 것으로 예상돼 해당 지역 주민들은 비상입니다.<br> <br>[에릭 벤슨 / 미 클렘슨대학교 곤충학자] <br>"토머스 제퍼슨(제3대 미국 대통령) 시절이었던 1803년 이후엔 단 한 번도 같이 나온 적이 없죠." <br><br>최대 110데시벨에 달하는 엄청난 소음이 걱정거리입니다. <br> <br>반려동물도 해를 입을까 동물병원을 찾는 사람도 있습니다. <br> <br>[신시아 곤잘레스 / 수의사] <br>"매미들은 물거나 쏘지 않기 때문에 위험하지는 않을 겁니다. 매미를 다량 섭취하지 않는 한에는요." <br> <br>하지만 221년 만의 기회를 잡으려는 사람도 적지 않습니다. <br> <br>독성도 없고 단백질도 풍부하다 보니 매미를 채집해 각종 요리를 선보이겠다는 사람도 있습니다. <br> <br>[잭 리만 / 요리 연구가] <br>"앞으로 몇 주 안에 수천만 마리가 나올 것이기 때문에 계속 요리를 연구 중입니다." <br> <br>평소 나비 날갯짓에 영감을 받는 음악가는 엄청난 매미 떼를 주제로 한 작품을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[토머스 / 음악가] <br>"매미들이 잔뜩 있는 지역에 가서 매미를 주제로 한 음악을 하고 싶어요." <br> <br>생태학자들도 이번 매미떼가 식물에 필요한 양분을 공급해 오히려 생태계에 유익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민곤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조아라<br /><br /><br />김민곤 기자 imgone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