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동 위기가 고조되는 가운데 원자재와 유가, 환율까지 삼중고로 하도급 위주의 중소기업들이 시름을 앓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당장 지출은 늘었지만, 납품 단가는 쉽사리 오르지 않아서 상황이 길어질 경우 대책이 필요한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박기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차량 엔진과 냉각기 등에 사용되는 특수 철강 자재를 생산하는 중소기업, <br /> <br />중동발 고환율에 올해만 2차례나 원자재 가격이 올라 걱정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정작 제품을 납품할 때의 가격은 올리기 쉽지 않다는 게 문제입니다. <br /> <br />[이의현 / 한국금속산업협동조합 이사장 : 철강재 같은 건 거의 다 올랐습니다. (원자재) 가격 인상이 되는 걸 자기네들도 언론을 통해서 알고는 있지만 그럴 때 그냥 올려주는 경우는 거의 없어요.] <br /> <br />중동 사태에 환율과 유가가 치솟은 가운데, 대부분 원자재를 수입해야 하는 우리 기업의 수익은 악화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아직은 버틸 수 있다는 평가도 있지만, 문제는 우리 중소기업의 안정성입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 팬데믹 이후 늘어난 부채를 버텨내지 못하고 파산을 신청하는 기업이 지난해보다 30% 넘게 늘었는데, <br /> <br />여기에 글로벌 가격 변동에 대비할 여력도 부족합니다. <br /> <br />[한창용 /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정책컨설팅센터장 :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차이 중에 하나가,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상품 가입률이 떨어집니다. 그래서 글로벌 변동성이 발생했을 때 대비가 현저히 부족하다 보니까….] <br /> <br />당장 원가 상승을 뒷받침할 납품대금 연동제가 시행됐지만, 이조차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곳은 많지 않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강제력이 없는 조항이라, 단가 인상 자체가 원청의 뜻에 달렸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이정희 / 중앙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: 하도급 업체들이 원청한테 충분한 납품단가를 보장받기 쉽지 않은 부분이 있기 때문에 하도급들은 어려움이 더 클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.] <br /> <br />정부는 '중동분쟁 중소벤처기업 TF'를 통해 관련 피해 사례를 접수해 상황을 점검하면서 필요할 경우 대응책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YTN 박기완 입니다. <br /> <br />촬영기자 : 박진수 <br />디자인 : 오재영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박기완 (parkkw0616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42305335963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