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국 의대 교수들, 지난달 25일부터 사직서 제출 <br />정부·의료계 주장 평행선…사직서 효력 곧 발생 <br />전공의 이어 교수도 이탈하면 병원 타격 불가피 <br />의대 교수들, 대학별 총회 이어 전국 총회 진행 <br />집단 사직·외래 진료 축소 등 향후 행보 논의<br /><br /> <br />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정책에 반대하면서 의대 교수들이 단체로 사직서를 낸 지 한 달이 가까워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 규모와 여파가 얼마나 될지 관심이 큰 가운데 의대 교수들은 잇따라 총회를 열고 사직과 진료 축소 등 향후 행보에 대한 논의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김주영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전국 의과대학 교수들은 지난달 25일을 기점으로 병원에 사직서를 제출하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의대 정원을 2천 명 늘리겠다는 정부의 계획을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 원점 재검토를 요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창수 / 전국 의과대학 교수협의회장(지난달 25일) : 정부에 의한 입학정원과 정원 배정의 철회가 없는 한 이 위기는 해결될 수 없으며, 국민 앞에서 모든 현안을 논의할 준비가 되어 있다. 이 '백지화'라는 것이 저는 0명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.] <br /> <br />그로부터 한 달이 지났지만, 정부와 의료계는 기존 입장을 고수하며 평행선을 달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의대 교수들이 냈던 사직서도 한 달의 시간을 채워 곧 효력이 발생할 상황에 이르렀습니다. <br /> <br />물론 의대마다 실제 제출된 사직서의 규모도 다르고, 정부의 설명처럼 효력이 모두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의 한 대형병원 관계자는 사직서를 낸 교수들이 예상보다는 적다며 교수들이 개별적으로 사직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본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일부라고 하더라도 전공의가 없는 병원에 교수들마저 빠져나간다면 타격은 불가피합니다. <br /> <br />사직서 효력 발생을 앞두고 의대 교수들은 서울대와 울산대 등 대학별 총회에 이어 전국 비대위 긴급 총회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자리에서 집단 사직뿐 아니라 정기 휴진 등 다양한 방안이 이야기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충남대 병원처럼 외래 진료일을 줄이는 방안도 검토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대병원 교수 비대위가 내일(24일) 기자회견을 열고 총회 결정 사항을 공개할 예정인 가운데 의대 교수들이 추가 대응에 나설지 관심이 쏠립니다. <br /> <br />YTN 김주영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;최연호 <br />디자인;김진호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주영 (kimjy0810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423191017858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