침묵 깬 공수처 '채상병 수사외압' 피의자 소환…특검 변수 여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'채상병 사건 수사 외압' 의혹을 수사 중인 공수처가 핵심 피의자들에 대한 소환 절차에 들어갔습니다.<br /><br />다만, 변수는 정치권의 '채상병 특검법' 처리 여부인데요.<br /><br />공수처는 특검 상황을 고려할 여유가 없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보도에 김예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긴 침묵을 깨고 '채상병 순직 사건 수사 외압 의혹'의 본격적인 조사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압수물에 대한 디지털 포렌식 절차를 모두 끝낸 만큼, 핵심 피의자 소환이라는 다음 절차에 돌입한 겁니다.<br /><br />우선 공수처는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과 박경훈 국방부 전 조사본부장 직무대리에게 출석을 통보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<br /><br />현재 공수처는 두 사람과 소환 일정을 조율 중인데, 소환 일정이 사전에 공개될 경우 출석 일정이 재조정되거나 수사에 영향을 줄 수 있어 구체적인 내용은 확인이 어렵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공수처가 앞서 자진 출석했던 이종섭 전 호주 대사 외에 이 사건과 관련해 피의자를 소환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.<br /><br />유 법무관리관은 지난해 8월 채상병 사건을 수사하던 박정훈 당시 해병대 수사단장에게 연락해 "직접 과실이 있는 사람"으로 수사 대상을 축소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의심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박 전 직무대리는 경북경찰청으로부터 회수한 수사 기록을 재검토한 조사본부의 책임자로, 당초 8명이었던 혐의자는 재검토를 거친 후 2명으로 대폭 줄었습니다.<br /><br />공수처가 압수수색 세 달 만에 피의자 소환에 나서며 뒤늦게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, 변수는 '채상병 특검법'입니다.<br /><br />현재 야당은 21대 국회 내에 특검법을 반드시 처리하겠다는 입장.<br /><br />다만, 공수처는 "수사 일정과 계획에 따라 진행하는 게 급한 상황"이라며 "특검 상황을 고려할 만큼 여유가 별로 없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예림입니다. (lim@yna.co.kr)<br /><br />#채상병_특검 #공수처 #국방부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