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는 의료계가 '통일된 의대 증원안'을 제시하면 2026학년도 의대 증원 규모를 다시 논의할 수 있다는 입장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. <br /> <br />24일 조선일보 단독 보도에 따르면 정부가 2026학년도 입시부터는 의대 증원 숫자를 다시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을 정했다고 했다. <br /> <br />의대 증원 규모 재조정은 25일 출범하는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위에서도 의제로 오를 가능성이 있다. 정부 관계자는 "의료계가 그동안 요구해 온 ‘의사 수 추계 위원회’ 같은 별도의 조직을 만들어 이 문제를 논의할 수도 있다"고 했다. <br /> <br />다만 의료계가 요구하는 2025학년도 증원을 포함한 ‘전면 백지화’는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. 2025학년도 의대 입시 요강은 늦어도 다음 달 말에는 최종 발표해야 하므로 물리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. <br /> <br />이러한 상황에서 서울대 의대 교수 비대위는 24일 "의사 정원에 대한 합리적인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(미래) 의사가 얼마나 필요한지 추계하는 연구 논문을 공모하겠다"고 발표했다. <br /> <br />의료계 인사들은 "정부도 증원 재논의의 조건으로 '의료계 통일안 마련'을 언급했을 뿐, 증원 규모가 어느 정도는 되어야 한다는 얘기는 하지 않았다"며 “"서울대 의대가 발주하는 의사 수 추계 논문이 의료계 통일안의 초안(草案) 역할을 할 수도 있다"고 했다. <br /> <br />정부가 증원 규모에 대해 유연한 입장을 보이는 만큼 전공의와 교수들도 정부와의 대화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. 하지만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위에 대한의사협회, 대한전공의협의회 등 의료계 주요 단체는 참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. 전공의 단체는 여전히 복귀 조건으로 정부의 필수 의료 (지원) 패키지와 의대 증원 정책 전면 백지화를 요구하고 있다. 의협 또한 전면 백지화를 요구하고 있다. <br /> <br />의협 비상대책위원회는 24일 브리핑을 열고 "전공의들에게 내린 부당한 행정명령 취하와 (의대) 증원을 멈추는 것이 (의료계를) 대화의 자리로 이끌 수 있는 정부의 최소한의 성의"라고 말했다. <br /> <br />디지털뉴스팀 이은비 기자 <br />AI앵커 : Y-GO <br />자막편집 : 정의진 <br /><br /><br />YTN 이은비 (eunbi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0425095720328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