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총선을 9일 앞두고 윤석열 대통령이 했던 의료개혁 관련 대국민 담화. <br> <br>이 담화의 내용과 과정을 놓고 대통령실과 한동훈 비대위원장이 갈등을 빚은 것으로 뒤늦게 알려졌습니다.<br> <br>담화가 나오기 전, 한동훈 비대위원장이 의대 증원규모를 유연화하는 내용을 포함시켜 달라며, 사퇴 의사까지 밝혔다는 건데요.<br> <br>이 담화가 총선에 미친 영향을 놓고도, 서로 해석이 엇갈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최수연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지난 1일 대통령의 의료개혁 대국민담화를 앞두고, 한동훈 당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그 전날과 당일, 이틀에 걸쳐 대통령실에 사퇴 의사를 밝힌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> <br>의대 증원 규모를 유연화하겠다는 메시지가 담화에 포함되지 않으면 총선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거라고 보고 사퇴 배수진을 친 겁니다. <br> <br>하지만 담화에서는 정부의 강경한 입장만 부각됐다는 평가가 나왔습니다. <br> <br>[의료개혁 대국민담화 (지난 1일)] <br>"2천 명이라는 숫자는 정부가 꼼꼼하게 계산하여 산출한 최소한의 증원 규모이고…" <br> <br>담화 직후 당 일각에서는 대통령 탈당을 요구하는 목소리까지 나왔고, 유세 현장에 있던 한 전 위원장은 숫자에 매몰될 일이 아니라며 수습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[한동훈 / 당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(지난 1일)] <br>"숫자에 매몰될 문제가 아닙니다. 우리 국민의힘은 증원 숫자를 포함해 조속히 국민을 위한 결론을 내줄 것을 강력히 요청 드렸습니다." <br> <br>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도 당일 오후 "증원 규모도 논의가 가능하다"며 담화 내용을 부연 설명했습니다. <br><br>전 비대위 관계자는 "한 전 위원장이 강하게 반발해 담화문도 기존 안보다는 누그러진 걸로 안다"고 했습니다.<br> <br>하지만 대통령실은 내부 회의를 거친 내용일 뿐 한 전 위원장 영향은 아니라는 입장입니다. <br><br>대통령실 핵심관계자는 "당시 대통령 대국민 담화로 오히려 막판 보수층이 결집했다"는 상반된 평가도 내놓았습니다.<br> <br>채널A 뉴스 최수연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이승근<br /><br /><br />최수연 기자 newsy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