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■ 방송 : 채널A 뉴스 TOP10 (17시 20분~19시)<br>■ 방송일 : 2024년 4월 26일 (금요일)<br>■ 진행 : 김종석 앵커<br>■ 출연 : 노동일 파이낸셜뉴스 주필, 여선웅 전 청와대 행정관, 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, 장현주 민주당 법률위 부위원장<br><br>[김종석 앵커]<br>저희가 일부 보도 내용을 바로 인용하지 않고 어제 보도 내용에 저희가 추가 취재한 내용까지 말씀을 드리겠습니다.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 윤 대통령이 등장하는데. 어제 일부 보도에 따르면 아마 그래픽이 준비가 되어 있을 텐데. 어제 일부 보도에 따르면 윤 대통령과 한동훈 전 위원장의 여러 파열음 혹은 갈등 의견 충돌 이런 것을 조율하기 위해서 윤석열 사단의 막내 격인 이복현 금감원장이 나섰다. 이런 하나 보도가 나왔거든요. 두 사람의 만남 중재를 시도했지만 성사되지 못했다, 무산됐다. 여기까지가 어제 일부 보도를 통해 알려진 사실입니다. 여기까지는 어느 정도 논평이 오늘 오후까지 나왔고. 저희가 특히 직접 추가 취재를 해봤습니다. 이 내용입니다.<br><br>중재 사실이고 이복현 원장은 대통령에게 이런 이야기를 했어요. 당시 대통령의 총선 참패 메시지가 조금 부족했던 것 아닌가, 하는 조언. 혹은 이야기와 함께 한동훈 전 위원장과 풀어라, 하고 이복현 원장이 이야기를 했고. 마찬가지로 이복현 원장은 윤 대통령뿐만 아니라 같이 검사로서 한솥밥을 먹었던 한동훈 전 위원장에게 전화를 걸어서 대통령과의 관계 개선이 필요하지 않은가 했더니 별다른 응답이 없었다. 이것이 가장 최근 저희 취재 결과 나온 내용입니다. 이현종 위원님. 대략적인 흐름은 맞는 것 같은데 구체적인 내용을 덧붙일 필요가 있을 것 같아요.<br><br>[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]<br>우선 세 명의 관계를 먼저 설명을 드려야 될 것 같아요. 이복현 원장은 72년생이고 한동훈 전 위원장은 73년생입니다. 이복현 원장은 서울대 경제학과를 나왔고요. 경제수사의 아주 일가견이 있습니다. 세 사람은 윤석열 대통령의 어떤 검찰 시절에 특수부에 아주 핵심 라인이었습니다. 좌동훈 우복현 이런 이야기 나올 정도로. 특히 이제 기수는 연수원 기수는 한동훈 위원장이 앞섭니다. 그런데 나이는 많고. 그리고 또 이복현 원장 같은 경우는 윤 대통령이 예전부터 형이라고 굉장히 이제 가까운 그런 사이였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. 그래서 이번 사태가 터지면서 이복현 원장이 이제 물밑에서 두 사람을 연결시켜 주는 그러한 역할들을 많이 해 왔다고 알려지고 있어요. 특히 조금 전에 이야기했듯이 대통령이 이제 총선 패배 이후에 국무회의에서 발언하는 형식으로 국민들에게 이야기했지 않습니까.<br><br>그런데 굉장히 그것이 형식과 내용에 있어서 미흡하다는 지적이 많았죠. 사실 세 사람은 어떤 면에서 보면 한배를 탄 이 정권에 있어서 어떤 면에서 보면 같은 동지라고 이야기할 수 있는 것 아니겠습니까. 그래서 이제 이복현 원장이 일각에 의하면 윤 대통령에게 이제 내용 자체가 이것이 좀 여러 가지 문제가 있었다는 부분들을 지적한 것 같아요. 그러면서 이제 윤 대통령과의 이런 관계 자체도 당시에 따르면 조금의 어떤 언성도 높였다, 이런 이야기도 있는데. 그러면서 결국 이 문제를 풀려면 세 사람은 운동 공동체란 말이에요. 같은 검사 출신에다가 정권의 핵심적인 역할을 맡고 있는 사람인데. 이 정부가 사실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하면 세 명이 다 비난 받을 수밖에 없지 않겠습니까.<br><br>그렇기 때문에 이복현 원장은 한동훈 위원장에게도 대통령과 회동이라든지 관계를 풀어야 한다고 했지만 당시에 아마 한동훈 위원장은 홍준표 시장의 어떤 발언이라든지 16일 만찬이라든지 등등 그다음에 선거 기간 동안 쌓여왔던 두 사람과의 관계라든지. 이런 것들이 굉장히 많이 악화되어 있었던 것 같습니다. 제가 알기로는 아마 11일에 선거 끝나자마자 한동훈 위원장이 문자 메시지를 보냈어요, 윤 대통령에게. 비대위원장 그만둡니다, 하니까 윤 대통령이 조만간 한 번 보자, 정도의 문자 메시지만 왔지 일체 전화 통화가 아직까지 없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. 그 사이에서 이복현 원장이 꽤 이런 중재를 위해서 노력했지만 아직까지 무언가 어떤 만나기에는 분위기는 무르익지 않은 상태가 아닌가, 하는 그런 관측도 있습니다.<br><br>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<br>*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.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<br>* 정리=김지현 인턴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