윤석열 대통령이 오늘, 이재명 민주당 대표와 회담을 엽니다. <br /> <br />취임 후 처음으로 야당 대표와 마주앉은 만큼 실질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 많은 관심이 쏠리는데요, <br /> <br />역대 영수회담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화면 보시죠. <br /> <br />먼저 영수회담의 의미입니다. <br /> <br />옷깃 '령(領)'에 소매 '수(袖)'를 씁니다. <br /> <br />옷깃과 소매의 만남. <br /> <br />통상 대통령과 제1야당 대표 간 회담을 의미하는데요, <br /> <br />대통령은 야당과 소통하며 함께 협력한다는 인상을 풍길 수 있고, <br /> <br />제1야당은 대통령과 독대하며 국정 현안을 풀어내는 이른바 힘 있는 야당의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가장 최근 사례로는 2018년 4월 문재인 전 대통령과 홍준표 당시 자유한국당 대표의 만남입니다. <br /> <br />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남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야당의 협조를 구했지만 끝내 이견을 좁히지 못한 채로 마무리됐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05년에 있었던 영수회담도 대표적인 실패 사례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노무현 전 대통령은 본인의 탄핵심판이 헌법재판소에서 기각된 이후 야당인 한나라당에 대연정을 제안하게 됩니다. <br /> <br />소선거구제였던 선거제 개편을 촉구하면서 내각 임명권을 주겠다고 약속했지만 당시 야권으로선 받아들 수 없는 제안이었고, 박근혜 당시 한나라당 대표와의 회담은 빈손으로 마무리됐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, 성과를 낸 영수회담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00년, 김대중 전 대통령은 대선 상대였던 이회창 당시 한나라당 총재를 수차례 만났는데요, <br /> <br />정부와 의료계 갈등이 폭발했던 의약분업 갈등 해결이나, 남북정상회담 지지를 이끌어 내는 등 초당적인 협력이 이뤄지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밖에도 노태우 전 대통령이 김대중 당시 평화민주당 총재와 두 차례 영수회담을 한 것을 비롯해 <br /> <br />박정희 전 대통령 때부터도 행정부 수반과 제1야당 대표와의 만남은 계속돼왔습니다. <br /> <br />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대표는 취임 이후 2년 내내 대치 국면을 이어왔죠. <br /> <br />이번 영수회담이 큰 성과물을 만들어 내긴 힘들다는 중론도 있지만, <br /> <br />'협치'를 시작할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라는 평가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의 만남이 지금의 꽉 막힌 정국을 해소할 수 있는 분기점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고소연 (kosy0212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429061216707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