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우리나라 최초의 우주항공청이 한 달 뒤 출범합니다.<br> <br>우주산업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지, 6년 전 우주청을 만든 호주에서 미리 볼 수 있습니다.<br> <br>박지혜 기자가 다녀왔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가방 속 물건을 척척 꺼내는 이 로봇. <br> <br>영하 140도를 견디며 우주기지를 지을 수 있는 달탐사 휴머노이드 로봇 '발키리'입니다. <br> <br>미 우주항공청, 나사에서 만들고 호주 민간 기업이 움직임을 개발중입니다. <br> <br>내년부터는 세계 최대 달탐사 프로젝트 '아르테미스'에 투입됩니다.<br> <br>2018년 우주국을 설립한 호주는 '무중력 화장품'도 개발했습니다.<br> <br>중력에 처지는 피부를 무중력 상태인 것처럼 '착각'에 빠뜨려 피부 재생을 강화하는 원리입니다. <br> <br>우주정거장 ISS에서 원료인 세포를 배양하고 검증도 마쳤습니다. <br> <br>[조슈아 추 / 무중력 화장품업체 대표] <br>"신체와 세포의 반응이 (지구와) 달라지는 것을 관측할 수 있는 전혀 다른 환경입니다." <br> <br>1시간이면 서울에서 부산을 갈 수 있는 '전기 비행기' 상용화도 앞뒀습니다. <br> <br>이 전기 비행기는 전기자동차와 같은 원리로 시속 300km 비행이 가능한데요 불과 10분이면 충전이 끝납니다.<br> <br>[맥스 요크 / 전기 비행기 업체 대표] <br>"헬리콥터처럼 수직으로 이륙한 다음 일반 비행기처럼 날아갈 수 있습니다. 어디에든 착륙할 수 있고 어디에든 이륙할 수 있어요." <br> <br>호주는 우주국 설립 후 민관 협력을 토대로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지혜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변은민 <br> <br><이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, 호주 워클리재단이 공동 주최하는 '2024년 한호 언론교류 프로그램' 지원을 받아 보도되었습니다.><br /><br /><br />박지혜 기자 sophia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