감사원이 지난해 자녀 특혜 채용 의혹이 불거진 선관위를 감사한 결과 대규모 채용 비리와 방만한 인사 운영 등이 줄줄이 적발됐습니다. <br /> <br />감사원은 이 과정에서 증거 인멸도 있었던 것으로 보고 먼저 27명을 검찰에 수사 요청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대겸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해 국회 행안위 전체 회의 과정에서 대대적으로 불거진 선관위 자녀 특혜 채용 의혹. <br /> <br />지자체 공무원인 자녀를 선관위에 근무하게 하려고 경력채용 절차를 비공개로 진행하거나 면접 점수를 조작하는 등 채용 비리를 저질렀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조은희 / 국민의힘 의원(지난해 5월) : 채용 공고도 없고 서류부터 면접까지 선관위 내부 직원으로만 심사했고 그것도 100% 취업입니다. (경쟁률이) 1:1이니까…. 이거 아빠 찬스 아닙니까?] <br /> <br />[박찬진 / 당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총장(지난해 5월) : 아빠 찬스를 줬다고 하면 제가 법적인 책임을 져야 한다고 하면 당연히 책임을 져야죠.] <br /> <br />장·차관급 사무총장과 차장부터 시작해 4·5급 일선 공무원까지 전방위적으로 특혜 채용에 연루된 정황이 확인되면서 노태악 선관위원장이 직접 고개를 숙여야 했습니다. <br /> <br />[노태악 /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(지난해 5월) : 국민께 심려를 끼쳐드려 송구스럽게 생각을 합니다. 위원회의 입장을 내일 밝히도록, 말씀드리겠습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감사원 감사 결과 당시 드러났던 채용 비리 의혹은 빙산의 일각이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감사원이 지역 선관위 위주로 지난 2013년 이후부터 실시한 경력 채용 과정을 전수 조사한 결과, 모든 채용 절차에서 800여 건의 규정 위반이 적발됐습니다. <br /> <br />경력채용 수요 조사에서 정원 초과가 확인됐음에도 장관급 공무원 자녀를 채용하거나 순위를 미리 정해놓은 뒤 면접을 진행하는 등 비리 형태도 다양했습니다. <br /> <br />추후 수사에 대비해 면접 관련 파일을 변조하거나 특혜채용을 은폐하기 위해 국회에 허위 답변서까지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이뿐만이 아니었습니다. <br /> <br />한 선관위 간부의 경우 자신의 휴가를 셀프 결재하면서 같은 진단서를 반복 사용하거나 허위로 병가를 내는 방식으로 170일가량을 무단으로 해외여행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1급인 상임위원 자리를 법정 임기 6년보다 짧게 운영하면서 승진 적체 해소 수단으로 활용하고 고위직인 3급 인원을 필요 인원보다 40% 많게 승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대겸 (kimdk1028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430140025431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